- 영문명
- Innovating Core Competencies in Higher Education: A Case Study of South Korean Universit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은정(Eunjeong Jang) 김태형(Taeh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7호, 103~1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15

국문 초록
목적 학령인구 감소, 4차 산업혁명 및 대학의 사회적 책임 강조 등 대학을 둘러싼 환경변화는 대학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이에 다수의 대학들은 고유의 핵심역량 정립을 통해 위기 극복에 힘쓰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국내 주요 대학을 대상으로 핵심역량을 조사하여 대학 핵심역량의 혁신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수도권 2개교, 충청권 1개교, 경상권 2개교, 전라권 1개교 등 전국 모든 지역에서 핵심역량 관리 경험을 축적해 온 대학을 선정하였다. 이후 학술논문, 기사, 각 대학 홈페이지 조사 및 전문가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결과 조사를 통해 밝혀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대학들은 인재상으로 직무 전문성 보다는 전문성을 발휘하는데 필요한 기초역량을 강조한다. 둘째, 주요 대학들은 인재상과 연계된 2∼6개의 핵심역량을 운영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핵심역량의 측정은 약 50∼100문항 정도의 자기보고식 설문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핵심역량 정립을 통한 대학생 역량향상을 모색 중인 타 대학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첫째, 타 대학의 핵심역량 관리 및 혁신 사례를 참고하되, 지나치게 이를 모방할 필요는 없다. 둘째, 대학 핵심역량 지표 분석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해서는 학교와 학생 관점의 균형이 필요하다. 셋째, 핵심역량 측정결과를 학생 경력개발과 취업역량 강화 등에 활용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변화관리를 위한 대학 최고경영진의 강한 의지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Factors such as a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emphasis on social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have forced universities to establish their own core competencies to overcome the crisi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ore competencies of major domestic universities and derive implications for the innovation of core competencies.
Methods For this study, universities were selected from all regions of the country, including two from the metropolitan area, one from the Chungcheong area, two from the Gyeongsang area, and one from the Jeolla area. These universities were chosen based on their experience in core competency management. The study then conducted research by collecting academic papers, articles, surveys from each university's website, and conducting expert interviews.
Results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major universities prioritize basic competencies required to demonstrate expertise, rather than job-specific skills, when it comes to talent development. Moreover, these universities focus on 2-6 core competencies related to talent. Finally, the measurement of these core competencies is done through a self-report questionnaire consisting of approximately 50 to 100 questions.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study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other universities that aim to improve the competence of their students by establishing core competencies. Firstly, universities can look to other institutions for examples of effective core competency management and innovation, but should avoid excessive imitation. Secondly, in order to ensur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analysis of the university's core competency indicators, a balance between school and student perspectives is necessary. Thirdly, the results of core competency measurement should be used to develop student careers and strengthen their employment capabilities. Finally, strong leadership and management from the university's top management is required to bring about any necessary chang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국내 주요 대학의 핵심역량 운영 사례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