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college life satisfaction and adaptability on competenci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정민(Joungmin Kim) 송영선(Youngsun So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7호, 75~92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S대학교의 재학생을 대상으로 대학 생활 만족도와 적응도가 핵심 역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함이다.
방법 이를 위해 S대학교에서 2023년 5~8월 중 확보된 데이터 중 만족도와 적응도에 모두 응답한 831명의 데이터를 취합하여 개체 병합을 수행하고, 패널 데이터로 변환하였다. SPSS 25와 STATA 16.0 패키지를 활용하여 상관관계, 타당도와 신뢰도, 일변량 분석, 다변량 검정,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역량 중에서 ‘지역 사회’역량이 가장 낮았으며, ‘통섭’, ‘타인 공감’ 순이었다. 학년별에 따라서는 ‘사회 공감’, ‘커뮤니케이션’, ‘글로컬’에서 통계적으로 차이가 있었으며, 단과대에 따라서는 ‘사회 공감’, ‘통섭’, ‘지역사회역량’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공감형 역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대학 생활 만족도의 ‘학습지원’, ‘교양’, ‘비교과’가 도출되었다. 통섭형 역량에는 ‘학생 지도’와 ‘전공’이 글로컬 역량에는 ‘비교과’, ‘학습지원’, ‘교양’이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학 생활 적응도에서는 ‘전공 진로에 대한 확신’, ‘정서 안정성’, ‘긍정적 학습 태도’, ‘학업 자신감’, 그리고 ‘교수와의 신뢰 및 관계 만족’이 가 핵심역량 전반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실천적인 측면과 연구방법론적인 측면에서 제언하였으며, 지방대학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학의 역할과 미래 계획을 위해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atisfaction and adaptability to university life affect the core competencies of a university.
Methods To achieve this, data from 831 respondents who answered both satisfaction and adaptation surveys were collected at S University between May and August 2023. These data were compiled, merged, and converted into panel data. Using SPSS 25 and STATA 16.0, correlation analysis, validity and reliability tests, un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tests,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Results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applied.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factors affecting empathy were derived as ‘learning support,’ ‘liberal arts,’ and ‘extra-curricular’ among the satisfaction variables of college life. ‘Student guidance’ was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 for Creative Convergence, and ‘student guidance’ and ‘culture’ were identified as the main factors for glocal communica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mpact of adaptation to college life on core competencies, among the variables, ‘confidence in major career path,’ ‘emotional stability,’ ‘positive learning attitude,’ ‘academic confidence,’ ‘trust in professors’, and ‘satisfaction with professor relationship’ This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se, ‘positive learning attitude’ was the highest, followed by ‘academic confidence’ as the variable that significantly impacted university core competencies.
Conclusions After conversion, These research results provided implications on the role of universities in responding to a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and what is needed for future plan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