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Problem and Alternatives of Diversifying College Writing Education : Focusing on Rhetorical Writing and Reading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교양교육학회
- 저자명
- 김진희(Jinhee Kim)
- 간행물 정보
- 『교양교육연구』제18권 제4호, 249~261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이 글에서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역사와 의의 및 글쓰기 교육 다원화의 양상과 문제를 살펴보고,수사적 읽기·쓰기 교육을 중심으로 대학 글쓰기 교육 다원화의 대안을 모색한다. 보편담화 교육의난점에도 불구하고 합리적 의사소통이라는 대학 글쓰기 교육의 목적에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글쓰기교육의 다양성에 대한 요구는 이러한 목적과의 조화 속에서 추구되어야 한다. 합리적 의사소통 교육이라는 목적을 전제로 할 때 의사소통 과목 선택형이나 의사소통 통합형, 또는 계열별 글쓰기 등은 대학신입생글쓰기 교육으로 한계가 있다. 반면 일률적인 보편담화 교육은 다양성 증진의 요구를 채워주지 못한다. 이 같은 한계들을 해소하는 방편으로 이 글에서는 멀티리터러시를 함양할 수 있는 수사적 쓰기·읽기교육을 제안하였다. 수사적 쓰기·읽기를 교육한다는 것은 특정 장르의 글을 쓰는 방법을 가르치는것이 아니라, 글에는 여러 장르가 있으며 각 장르에 따라 글의 목적과 의미, 방법이 달라진다는 것자체를 가르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글쓰기의 여러 가지 목적과 방식에 대해 성찰할 수 있게 하는글쓰기 교육법이다. 이러한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글이 여러 가지 맥락에서 어떻게 달라지며 어떤역할을 할 수 있는지 등과 관련하여 글쓰기에 대한 메타적 지식을 습득하고 이로써 향후 전공 분야를포함한 다양한 맥락에서 글쓰기를 수행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history and significance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the aspects and issues of diversified writingeducation, and explores alternatives for the diversification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centered on rhetorical reading andwriting education. Despite the challenges of universal discourse education, the goal of college writing education remainsunchanged: rational communication. Therefore, the demand for diversity in writing education should be pursued in harmonywith this goal. Assuming the goal of rational communication education, options such as elective communication courses,integrated communication, or writing by academic field have limitations for freshman writing education classes. On the otherhand, uniform universal discourse education fails to meet the demand for increased diversity. As a way to address theselimitations, this article proposes rhetorical writing and reading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multiliteracies. Teaching rhetoricalwriting and reading doesn’t mean teaching our students how to write in a specific genre, but rather teaching them thatthere are various genres of writing, and that the purpose, meaning, and methods of writing differ according to each genre. In other words, it is a writing education method that enables reflection on various purposes and methods of writing. Throughthis education, students are expected to acquire meta-knowledge about writing, such as how writing differs in various contextsand what roles it can play, and to apply this knowledge to writing in diverse contexts, including their future fields of study.
목차
1. 서론 -보편담화의 추상성과 글쓰기 교육의 딜레마
2. 대학 글쓰기 교육의 역사와 목표
3. 대학 글쓰기 교육 다원화의 양상과 문제
4. 대학 글쓰기 교육 다원화의 대안: 수사적 쓰기·읽기 교육
5. 결론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