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s of ICT-based Sports Activity Participants' Servicescape on Participation Experience, Perceived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 발행기관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
- 저자명
- 윤병훈(Byeong Hun Yoon) 강현욱(Hyun Wook Kang)
- 간행물 정보
- 『한국레저사이언스학회지』제15권 제3호, 67~7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체육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ICT 기반 스포츠활동 참여자의 서비스스케이프가 참여경험, 지각된가치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영향과 그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는 ICT 기반 스포츠시설의 환경을 점검하고 참여자들의 심리를 파악하여 ICT 기반 스포츠를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경기도와 인천지역에 있는ICT 기반 스포츠시설을 방문한 참여자 350명이며, 이를 바탕으로 각 요인간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SPSS Window version 2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 FA)과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CA)을실시하였으며, 이후 연구의 가설 검정을 위해 AMOS 28.0을 사용하여 확인적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조방정식모델(Structural Equation Model: SEM)을 적용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첫째, ICT 기반 스포츠 참여자의 서비스스케이프는 참여경험에 정적인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ICT 기반 스포츠 참여자들의 참여경험이 지각된가치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확인되었다. 셋째, ICT 기반 스포츠 참여자들의 참여경험이 행동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ICT 기반 스포츠 참여자들의 지각된가치가 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and relationship of the servicescape of participants in ICT-based sports activities on participation experience, perceived value, and behavioral inten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50 participants who visited ICT-based sports facilities in Gyeonggi-do and Incheon, Frequency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SPSS Window version 28.0,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AMOS 28.0 to test the hypothesis of the subsequent study. Finall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as a result of analysis by apply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First, the servicescape of the study participant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ceived value. Third, it was investigated that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Fourth,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ived value of the study participant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ion.
목차
서론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