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과 취업불안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 Process Macro를 적용하여
이용수 83
- 영문명
-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rough Self-esteem and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유정화(Junghwa You)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4호, 679~703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외모관리행동이 자아존중감과 취업불안을 매개로 진로준비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충청 및 경기도 소재 항공서비스 관련 학과 대학생 40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외모관리행동은 자아존중감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은 취업불안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외모관리행동과 자아존중감은 진로준비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취업불안은 진로준비행동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자아존중감과 취업불안은 외모관리행동과 진로준비행동 간에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항공서비스 전공 대학생의 취업불안을 낮추고 진로준비행동 강화를 위해 자아존중감을 높이는 것이 중요하며, 진로준비 과정에서 직업에 적합한 이미지를 찾고 이에 대한 외모관리행동을 한다면 취업역량을 높이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the effect of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y the medium of self-esteem and job-seeking anxiety in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airline service.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below. First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has positive effect on both self-esteem. Secon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has negative effect on job-seeking anxiety. Thirdly,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self-esteem posi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ut job-seeking anxiety has negative effec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Lastly, Self-esteem and job-seeking anxiety have mediating effect between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Therefore, When college students have images fit for jobs they want and carry out right appearance management behaviors in the process of career preparation, it will definitely help increase employment competenc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