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Factors of the Spread of Korean wave in East Asia since the 2000s : Focusing on the Analysis of Preferred Factors of K-Pop
- 발행기관
- 한국정치사회연구소
- 저자명
- 김미림(Mi-rim Kim) 배진택(Jin-taek Bae) 신경환(Kyungwhan Shin)
- 간행물 정보
- 『한국과 국제사회』제8권 제4호, 289~318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국과 일본의 한류 문화 인식, K-Pop 인기요인, K-Pop 기술이용, K-Pop 이용 의도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23년 8월 22일부터 9월 10일까지 중국인과 일본인 총 240명을 대상으로 서베이 몽키를 통하여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사 결과 첫째, K-Pop 이용 의도에 K-Pop 기술이용(β=.875), K-Pop 인기요인(β=.612), 한류 문화 인식(β=.237)이 영향력을 보였다. 둘째, K-Pop 기술이용에 K-Pop 인기요인(β=.713)과 한류 문화 인식(β=.207)이 영향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한류 문화 인식과 K-Pop 인기요인이 K-Pop 이용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K-Pop 기술이용의 매개 효과를 분석한 결과 K-Pop 기술이용의 매개효과(문화 인식, Z=3.583; K-Pop 인기요인, Z=9.348)를 확인했다. 이에 본 연구를 바탕으로 K-Pop 이용 의도를 높이기 위한 제언을 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Korean Wave culture in China and Japan, the popularity factors of K-Pop, the use of K-Pop technology, and the intention to use K-Pop. From August to September 2023, we studied 240 people. As a result of the survey, first, the use of K-Pop technology(β=.875), the popularity factor of K-Pop(β=.612), and the perception of Korean Wave culture(β=.237) showed an influence on the use of K-Pop technology.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 of the use of K-Pop technology in the effect of Korean Wave culture perception and K-Pop popularity factors on the intention to use K-Pop, the mediating effect of the use of K-Pop technology(cultural recognition, z=3.583; K-Pop popularity factor, z=9.348) was confirmed. Therefore, based on this study, suggestions were made to increase the intention to use K-Pop.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론 및 함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