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Improving Fire Safety in Traditional Market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강민 곽대훈 고왕열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24권 4호, 79~9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화재발생시 큰 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전통시장의 소방안전관리에 관한 규정과 화재알림설비에 대한 문제점을
분석하고 주요 화재사례를 통해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전통시장의 점포수에 따라 소방시설 설치 종류를 지정하고 설치규정
개정시 소급적용하도록 하여야 하며 전통시장으로 지정되는 경우 소방안전관리대상물로 지정하여 소방안전관리자 선임,
소방교육훈련, 자체점검을 의무화해야한다. 화재알림설비는 소방안전관리자가 정기적으로 점검하도록 하고 일정구간마다
자립할 수 있는 내화구조의 벽으로 방화벽을 설치하고 전통시장 신규 지정시 안전점검을 통한 시설보완후에 지정하도록
하여야 한다. 또한, 전통시장은 화재감지설비 및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의무화하고 건물형 전통시장은 자동식스프링클러설비를
소급적용하여 설치하도록 하여야 한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analyzed fire-safety management regulations and problems with fire-alarm equipment in traditional markets, as
failures can cause significant damage in the event of a fire. We also present improvement measures based on analyzing major
fire accidents. Traditional markets must designate the type of firefighting equipment installed at a store according to the number
of stores, and apply this measure retroactively when the installation regulations are revised. If the market is designated as traditional,
the equipment must be designated as a fire-safety management object, and the appointment of a fire safety manager, firefight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self-inspection must be made mandatory. Fire-alarm equipment must be inspected regularly by a fire-safety
manager, and fire-proof walls must be installed with self-supporting fire-resistant structures at certain sections. When designing
a new traditional market, it must be designated after facility supplementation following safety inspection. In addition, traditional
markets are required to have fire-detection equipment and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s, and building-type traditional markets must
retroactively install automatic sprinkler equipment.
목차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