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Navigating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A Study of Uzbek Undergraduates in a South Korean Writing Course
이용수 25
- 영문명
- Navigating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A Study of Uzbek Undergraduates in a South Korean Writing Cours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장가육(Jiayu Zhang) 김정인(Jungyi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795~81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목적 이 사례 연구는 한국 대학에서 세 명의 우즈베키스탄 국제 학생들이 교실 접근에서 겪는 장벽과 현지 한국 동창들과의 협력적 상호작용을 조사했다. 국제 학생들의 협력 활동 참여에 대한 주최 지역사회의 자본과 이념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Darvin과 Norton(2015)의 투자 모델을 사용했다. 협력의 역학은 Storch(2013)의 쌍방 상호작용 모델을 통해 평가되었다.
방법 본연구는 2022년 9월부터 2023년 6월까지 진행되었다. 데이터는 주요 참여자, 그들의 동창 및 교사와의 반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서 수집되었으며, 두 학기에 걸친 수업 관찰과 교육 자료 분석이 보완되었다. 인터뷰와 현장 기록을 포함한 데이터 코딩에는 Miles 등(2014)의 분석 전략이 사용되었다.
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학생들이 필요한 경제 자본을 얻는 필요성과 교실 투자 간의 균형을 맞추지 못하는 데서 비롯된 장벽을 강조했다. (2) 현지 학생과 국제 학생 간의 습속 차이가 학습 투자와 협력의 역학에 영향을 미쳤다.
결론 본 연구는 통찰을 바탕으로 연구자들은 평등한 학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문화적으로 민감한 교육 전략, 즉 교차 문화적 토론과 온라인 플랫폼에서 다양한 이념적 관점을 사용하는 것을 권장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ethnographic multiple-case study investigated three Uzbekistani international students’ barriers to classroom access at a South Korean university and their collaborative interactions with local South Korean peers. To analyze the impact of capital and ideologies in the host community on international students’ investment in collaborative activities, Darvin and Norton’s (2015) model of investment was employed. The dynamics of collaboration were assessed with Storch's (2013) model of dyadic interaction.
Methods This qualitative stud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2022 to June 2023.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the focal participants, their peers, and their teacher, supplemented by classroom observations and analysis of educational materials over two semesters. Miles et al. (2014)'s analytical strategy was used to code the data, including interview transcripts and field notes.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highlighted that the barriers stemmed from the inability of students to balance the need to obtain necessary economic capital with classroom investment. Moreover, differences between local and international students’ habitus affected the dynamics of their learning investment and collaboration.
Conclusions Based on these insights, the researchers advocated for culturally sensitive pedagogical strategies, including cross-cultural discussions and the use of diverse ideological perspectives on online platforms, to foster equal learning context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Ⅲ. Literature Review
Ⅳ. Methodology
Ⅴ. Findings
Ⅵ. Discussion
Ⅶ.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