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and School Adaptation on Career Adaptabil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지원(Jiwon Lee) 정혜원(Hyewon Ch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609~62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학교적응, 진로적응력의 구조적 관계를 탐색하고,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직·간접 효과를 검증하고자 수행되었다.
방법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2018년부터 실시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2018)의 자료 중에서 중1 코호트의 5차년도(고2, N=2,204)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구조방정식 모형을 적용하여 변인 간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는 진로적응력에 유의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과 더불어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정적으로 강화되는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둘째, 학교적응도 마찬가지로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진로적응력에 유의한 직·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총효과를 비교하였을 때 학교적응이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총효과가 상대적으로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주요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등학생의 진로적응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방안 수립을 위한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school adaptation, and career adaptability. It also examined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career adaptability,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Methods For this purpo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was applied to Wave 5 of the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data set (11th grade, N=2,204),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with a partial mediation effect that was positively reinforced by self-esteem. Second, school adaptation similarly had a significant direct and indirect effect on career adaptability, mediated by self-esteem. Third, the total effect of school adaptation on career adaptability was relatively larger as compared to that of high school students' perceived parenting attitudes on career adaptability.
Conclusions Based on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to improve the career adaptability of high school students are present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