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ase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Writ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Writing Cour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금선영(SunYoung Keum) 박선영(SunYoung Park) 허선영(SunYoung Hu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497~507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글쓰기 수업을 운영하고 해당 수업이 대학생의 글쓰기 효능감 향상에 영향을 미쳤는지 살펴보고, 글쓰기 효능감의 유형(인지, 정의, 사회)에 따른 수준이 학업성취도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방법 경기도 소재 S대학교의 <비판적 읽기와 글쓰기> 수강생 149명을 대상으로 사전과 사후 설문을 실시하고, 글쓰기 효능감 변화를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측정하였다. 또한 글쓰기 효능감의 수준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 인지, 정의, 사회 영역의 글쓰기 효능감을 상위, 하위 집단으로 구분하여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글쓰기 효능감은 사전보다 사후에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특히 인지적 효능감은 지식과 기능 영역 모두에서 향상되었으며, 정의적 효능감의 흥미와 불안 요소도 각각 향상되었다. 사회적 효능감의 대리경험은 증가했지만, 사회적 평가 영역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전체적으로 글쓰기 효능감이 높은 집단의 학업성취도는 하위 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결론 본 연구는 글쓰기 수업이 대학생의 글쓰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인지적 효능감의 향상이 중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불안을 줄이기 위해 자유 글쓰기 전략을 도입하는 것과 사회적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반복적인 피드백과 글을 자주 공유하는 전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글쓰기 효능감과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더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다양한 중재 변수들을 포함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writing instruction on enhancing university students’ writing self-efficacy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writing self-efficacy (cognitive, affective, and social) and academic achievement.
Methods A pre- and post-survey was conducted for 149 students enrolled in the “Critical Reading and Writing” course at S University. Paired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based on the pre-and post-surveys to investigate changes after the course. In addition,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levels of writ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dependent sample t-tests were conducted by dividing writing self-efficacy into higher and lower groups in each domain.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writ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increased post-instruction compared to pre-instruction. Notably, cognitive self-efficacy improved in both knowledge and skill domains, and affective self-efficacy showed enhancements in both interest and anxiety factors. Social self-efficacy increased in terms of vicarious experiences,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in the social evaluation domain. Overall, students with high writing self-efficacy demonstra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higher academic achievement compared to those with low self-efficacy.
Conclusions This study shows that “writing course” positively impacts students’ writ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improving cognitive self-efficacy.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suggested to incorporate free writing strategies to reduce anxiety and implement frequent feedback and sharing strategies to enhance social self-efficacy. Future research should systemat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self-efficacy and academic achievement, considering various moderating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