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School Mood on Democratic Citizenship: focused on the mediating Social Competen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병임(Byunglim Lee)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487~496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고등학생의 학교분위기, 민주시민의식 및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를 살펴보고, 고등학생의 학교분위기가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K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1학년 학생을 임의표집 하였다. 연구대상은 180명이었고 모두 남학생으로 구성되었다. 연구방법은 학교분위기, 민주시민의식, 사회적 유능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방법은 첫째, 학교분위기, 사회적 유능성, 민주시민의식 간의 상관관계를 산출하였다. 둘째, 학교분위기와 사회적 유능성이 민주시민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학교분위기와 민주시민의식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Process macro를 실행하였다.
결과 첫째, 학교분위기, 민주시민의식 및 사회적 유능성은 유의미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학교분위기의 하위요인인 교우관계, 교사와의 관계, 학생의 의견반영이 민주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유능성의 하위요인인 상호작용개시, 정서적지지, 갈등관리가 민주시민의식에 영향을 미쳤다. 셋째, 학교분위기가 민주시민의식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유능성이 매개효과를 보였다.
결론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민주시민의식을 높이는데 학급분위기의 조성과 사회적 유능성의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tmosphere, democratic citizenship, and social competence, and to find out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in the influence of high school students' school atmosphere on democratic citizenship.
Methods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a random sample of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located in the K area.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80 students, and all consisted of male students. The research method used tools to measure school atmosphere, democratic citizenship, and social competence. As for the analysis method,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school atmosphere, social competence, and democratic citizenship consciousness was calculated. Second, a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 of school atmosphere and social competence on democratic citizenship consciousness. Third, the process macro was implement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compete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atmosphere and democratic citizenship consciousness.
Results First, school atmosphere, democratic citizenship, and social competence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Second, the sub-factors of the school atmosphere, such as companionship, relationship with teachers, and reflection of students' opinions, influenced democratic citizenship. Interaction initiation, emotional support, and conflict management, which are sub-factors of social competence, influenced democratic citizenship. Third, social competence showed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cratic citizenship consciousness in the school atmosphere.
Conclusions These result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 class atmosphere and support a sense of social competence to increase the democratic citizenship consciousness of high school student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