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elphi Survey Study on Appropriate Interventions for Nonsuicidal Self-Injury Counseling Situations: Focused on the School Counseling Field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조항(Hang Jo) 김신애(Sinae Kim) 금창민(Changmin Keu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6호, 343~35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학교상담자들이 비자살적 자해상담과정에서 대처하기 어려운 상황에 대한 적절한 개입전략과 주의해야 되는 사항을 도출하는 것이었다.
방법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경력 5년 이상인 10명의 학교상담자를 전문가패널로 모집하여 총 3차에 걸쳐 전문가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델파이조사를 수행하였다. 이를 통해 상황별 CVR(Content Validity Ratio)를 산출하였으며 적절한 개입방법과 주의사항에 대한 합의를 도출하였다.
결과 그 결과, 총 6가지 상황인 (1) 부모의 무관심/협조거부 상황, (2) 비밀보장에 관한 윤리적 갈등 상황, (3) 소극적, 비자발적인 내담자 상황, (4) 처방된 약물치료에 대해 거부하는 상황, (5) 교내 구성원의 협조가 어려운 상황, (6) 경계 없이 밤늦게 연락 오는 상황 등에 대한 총 34개의 적절한 개입과 25개의 주의사항이 도출되었다.
결론 이렇게 도출된 결과가 비자살적 자해상담을 관련 학교상담자 교육에 활용되어 그들의 소진을 방지하고, 적절한 개입방법의 공유를 통해 자해상담의 효과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appropriate intervention strategies and considerations for difficult situations in which domestic school counselors find it challenging to cope during nonsuicidal self-injury counseling processes.
Methods To achieve this, we recruited 10 school counselors with over 5 years of experience as expert panelists and conducted three rounds of Delphi surveys. CVR(Content Validity Ratio) was caculated for each situation, and consensus was reached on appropriate intervention methods and considerations.
Results As a result, a total of 34 appropriate interventions and 25 considerations were derived for six situations, including (1) situations involving parental indifference or refusal to cooperate, (2) ethical dilemmas related to confidentiality, (3) dealing with passive, non-voluntary clients, (4) situations where clients reject prescribed medication, (5) situations where cooperation from school members is difficult, and (6) situations where you are contacted late at night without any boundaries.
Conclusions We hope that our findings can be utilized in the education of school counselors related to nonsuicidal self-injury counseling,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burnout and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self-injury counseling through the sharing of appropriate intervention method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