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IT 기술인력의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분석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The effect of IT workforce’s job autonomy on job crfting and job performance: Multi-group analysi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고민정(Min Jeong Ko) 한주희(Juhee Hahn)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7권 제3호, 103~128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0.09.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무자율성-잡크래프팅-직무성과로 이어지는 잡크래프팅의 작동 매커니즘이 IT 기술인력에게도 동일하게 적용되는지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고, 이러한 관계 내에서 인구통계학적 변 수들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중국 5개 이동통신사 기술인력 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직무자율성, 잡크래프팅, 직무성과 간 인 과관계를 확인하였다. 또한, IT 기술인력의 나이, 성별, 학력 및 근속연수에 따라 집단을 나눈 후 집단 간 직무자율성, 잡크래프팅, 직무성과 간 인과관계가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다집단 분석을 실 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직무자율성은 잡크래프팅을 매개하여 직무성과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력은 나이에 따른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의 경우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작았으며, 20대를 제외한 모든 집단에서 잡크래 프팅에 대한 직무자율성의 영향력이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학력에 따른 집단 간에는 변수 간 모 든 영향관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전문대 이하 학력에서는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을 매우 강하게 예측하였지만, 이에 비하여 잡크래프팅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은 상대적으로 줄어들었고, 직무자율성이 직무성과에 직접적으로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하지 않았다. 대졸 학력 집단에서는 직무자 율성, 잡크래프팅, 직무성과 간 모든 경로에서 유의한 정(+)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 이 상 학력 집단에서는 직무자율성이 높을수록 잡크래프팅과 직무성과가 높아지는 정(+)의 관계가 관찰되 었으나, 잡크래프팅이 직무성과를 예측하지는 못하였다. 넷째, 근무경력에 따른 집단 간에는 잡크래프팅 -직무성과 경로에서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경력이 1-3년인 집단에서 잡크래프팅이 직무 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이 가장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근무경력이 5년 이상인 집단에서는 잡크래프팅 이 직무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비교적 직무요구 수준이 높고, 남다른 직업적 의식을 가진 IT 기술인력에게도 직무자율성- 잡크래프팅-직무성과로 이어지는 잡크래프팅 작동 매커니즘이 동일하게 적용됨을 확인하였고, 잡크래프 팅 매커니즘에 영향을 미치는 나이, 성별, 학력 및 근속연수의 실제적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잡크래프팅 의 이론적 바탕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Rudolph 등(2017)의 연구에서도 이러한 시도가 있었으나, 이들은 선행연구를 활용한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기 때문에 변수 간 관계를 직접적으로 규 명하지 못하였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실증데이터를 활용하여 잡크래프팅과 인구통계학적 변수 간 관계 를 직접적으로 살펴보았기 때문에 더욱 실재적이고 명확한 변수 간 관계를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또한, 본 연구는 중국 내 이동통신 기업의 기술인력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잡크래프 팅을 활용한 인사관리 실무차원의 명확하고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그러나 연 구대상을 한정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 및 논의를 토대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미래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Job Demands-Resources Model,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the basic mechanism of job crafting is applied equally to IT workforce. Further, we explored the rol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in job crafting mechanism.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group analysis, we analyzed 501 IT workforce’s survey data from Chinese telecommunication enterprises. The results suggested as follows. First, job autonomy had a positive effect on job performance mediated by job crafting. Second, the effect of job autonomy on job crafting was different among age groups. In the 20s, job autonomy had the smallest influence on job crafting, and in all other groups, job autonomy had a very strong influence on job crafting. Third,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were observed among education level groups. Although job autonomy predicted job crafting very strongly in the low education level group, the effect of job crafting on job performance decreased relatively. Moreover, the direct effect of job autono- my on job performance was not significant. In the bachelor’s degree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in all paths between job autonomy,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In high education level group, job crafting did not predict job performance where as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job autonomy and job crafting existed. Fourth, different relationships between job crafting and job performance were observed among tenure level groups. In the 1-3 years of work experience group, job crafting had the strongest influence on job performance. In contrast, in over 5 years of work experience group, job crafting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job performance.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job crafting is not effective for all employees within the purpose of improving job performance.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basic mechanism of job crafting is applied equally to IT workforce who has relatively high job demand and unique work consciousness. Also, this study provided development of enhanced theories of job crafting by confirming the moderating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Even though Rudolph et al.(2017) tried to prove the role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y were not able to identify the actual effect because they used a meta-analysis. This study, using empirical data, proved the clear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moderated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Further, fo- cusing on the IT workforce of Chinese mobile telecommunication companies, this study provides a clear and specific basis for using of job crafting to the HR practitioners. Nevertheless, since we focused on specific workforce, it is required to be cautious for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Finally, future re- search directions were discussed with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고민정(Min Jeong Ko),한주희(Juhee Hahn). (2020).IT 기술인력의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분석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17 (3), 103-128

MLA

고민정(Min Jeong Ko),한주희(Juhee Hahn). "IT 기술인력의 직무자율성이 잡크래프팅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집단분석을 중심으로." 유라시아연구, 17.3(2020): 103-128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