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Implications for FDI in the Provinces

이용수 0

영문명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Implications for FDI in the Provinces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김보라(Bo-Ra Kim)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6권 제1호, 51~107쪽, 전체 5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3.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최근 외국인투자자들이 몽골 아이막들에 직접 투자하는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와 관련하여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할 것은 몽골 아이막들의 외국인직접투자 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몽골 아이막들에 대한 외국인직접투자 관련 시사점을 제공하는 연구이다. 이러한 연구는 첫째로, 외국인투자자들이 몽골 아이막들 중 투자할 아이막을 선택하는 것, 둘째로, 몽골 아이막들에 투자할 방법과 투자 전략을 정의하는 데에 그 중요성을 지닌다. 나아가 이러한 연구는 앞서 언급한 2개의 방법으로 몽골 아이막들에 대한 외국인투자자들의 투자가 합리적이며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데에 중요성을 가진다. 현재까지 몽골의 21개 아이막의 외국인직접투자 환경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몽골 아이막들에 직접 투자하는 것에 관한 시사점을 주는 연구는 별로(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이다. 그러나 외국인투자자들이 몽골 아이막들에 대한 직접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현 상황과 몽골 아이막들의 외국인직접투자 환경 및 이를 기반으로 외국인투자자들에게 직접투자와 관련한 시사점을 주는 연구 간의 연관성을 살펴봤을 때 이러한 연구가 필수적으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상황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몽골 21개 아이막의 외국인직접투자 환경을 살펴보고, 이를 기반으로 외국인투자자들이 몽골 아이막들에 직접 투자하는 것과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여 본 연구는 먼저, 몽골 21개 아이막의 외국인직접투자 환경을 살펴볼 이론적 분석틀을 개발하였으며, 외국인직접투자 환경을 그 기본적인 형태인 시장지향형, 자원지향형과 생산효율지향형 외국인직접투자별로 살펴볼 이론적 분석틀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는 이론적 분석틀을 사용하여 몽골 21개 아이막의 외국인직접투자 환경을 살펴봤으며, 이를 기반으로 외국인투자자들이 몽골 아이막들에 직접 투자하는 것에 관한 시사점들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본 연구는 첫째로, 몽골 21개 아이막은 외국인직접투자의 기본적인 형태인 시장지향형, 자원지향형과 생산효율지향형 외국인직접투자별로 상이한 환경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외국인직접투자의 각 형태별로 호의적인 환경과 준호의적인 환경을 가진 아이막들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로, 몽골 21개 아이막의 외국인직접투자 환경에 기반하여 외국인투자자들이 몽골 아이막들에 직접 투자하는 것에 관련한 5개의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몽골의 21개 아이막의 외국인직접투자 환경 상태와 관련하여 외국인투자자들이 몽골 아이막들에 대해 몇몇 개의 방법으로 직접 투자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영문 초록

Lately, foreign investors have become interested in making direct investment in the Mongolian provinces. One thing that is becoming important given that foreign investors have become interested in making direct investment in the Mongolian provinces in this manner is a study on examining FDI environment of the Mongolian provinces and deriving implications for FDI in the Mongolian provinces based on it. The reason is that, first, this type of study could be significant for foreign investors’ selection of a province to make a direct investment among the Mongolian provinces and second, for that foreign investors develop a way and strategy to make a direct investment in the Mongolian provinces. Furthermore, this type of study could be significant in helping direct investment of foreign investors in the Mongolian provinces be conducted rationally and effectively, through, for instance, the above two ways. To the best of the author‘s knowledge, there has been no study on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implications related to making direct investment therein. However, considering foreign investors’ growing interest in direct investments in the Mongolian provinces and significance of study on the FDI environment of the Mongolian provinces and implications for FDI based on it, it seems that this type of study is essential. Accordingly, the study aims at examining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developing implications related to that foreign investors make a direct investment in the Mongolian provinces based on it. In line with this aim, the study, first, developed a theoretical framework to examine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from the perspective of main types of FDI such as market-seeking, resources-seeking, and efficiency-seeking FDI. Thus, it examined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by applying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derived implications related to foreign investors making FDI in the Mongolian provinces based thereon. The study yield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 it found that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have different and distinct environment by each FDI type (market-seeking, resources-seeking, and efficiency-seeking FDI). In addition, it found that there are provinces that have a favorable environment and provinces that have a semi-favorable environment by each FDI type. Second, it derived and suggested five implications related to foreign investors making FDI in the Mongolian provinces based on the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Finally, the study reached a conclusion that foreign investors are able to make FDI in the Mongolian provinces in several ways related to the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목차

Ⅰ. Introduction
Ⅱ. Theoretical Framework: FDI Environments
Ⅲ.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Ⅳ.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Implications for FDI in the Provinces
Ⅴ.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보라(Bo-Ra Kim). (2019).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Implications for FDI in the Provinces. 유라시아연구, 16 (1), 51-107

MLA

김보라(Bo-Ra Kim).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Environments of the 21 Provinces of Mongolia and Implications for FDI in the Provinces." 유라시아연구, 16.1(2019): 51-107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