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Linkage Effect of Wage Increase and Exchange Rate Fluctuation of Korean Manufacturing Industry
- 발행기관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 저자명
- 이웅호(Woonghoo Lee) 김재홍(Jaehong Kim)
- 간행물 정보
- 『유라시아연구』제14권 제1호, 121~14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3.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인건비와 환율 변동이 산업간 연결 구조를 통하여 우리나라 제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인건비와 환율 변동의 산업간 직·간접 파급효과의 크기와 감응도계수를 산출하여 이들 각 계수의 대소에 따라 산업군을 분류하고 산업군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정책방향을 제시한다.
첫째, 인건비 상승에 따른 산업간 파급효과를 고려한 산업정책을 제안하기 위하여 , 의 대소에 따라 4개의 산업군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4개의 산업군은 인건비 상승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서로 다른 정책방향을 제시해야 한다. 이 중 와 이 모두 큰 산업들로 구성된 제Ⅳ산업군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즉 가 크기 때문에 인건비 상승에 따라 당해 산업들에 미치는 영향도 클 뿐만 아니라, 도 크기 때문에 다른 산업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따라서 임금 상승 압박이 심한 때에는 이들 산업에 정책 자금 지원 등 정부의 임금 지원 정책이 필요하다.
둘째, 환율 변동의 산업간 파급효과를 고려한 산업정책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도 4개의 산업군으로 분류하였다. 이 중 직접수입율과 감음도계수가 모두 큰 제Ⅳ산업군은 환율 변동에 민감할 뿐만 아니라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도 크다. 따라서 환율변동이 심한 경우에는 이들 산업에 대한 관세율 조정 등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하다.
셋째, 인건비와 환율의 직접적 변동 효과뿐만 아니라 산업간 연결 구조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파급되는 효과까지 감안한 총체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산업간 직·간접 연계 정도를 감안한 총임금율과 총수입율을 각각 구한 후 이들 변수와 감응도계수의 대소에 따라 8개의 산업군으로 분류하여 각각의 특성에 맞는 정책방안을 제안한다.
결론적으로 실업이 장기화 되고 있는 우리 경제에서 최대 이슈로 고용률 제고이다. 이러한 현실 경제에서는 총임금율이 높은 즉 노동집약적인 산업이면서 동시에 다른 산업에 파급효과가 큰 제Ⅵ산업군에 대한 정부의 정책 배려가 요구된다. 한편으로 환율이 급변하는 시점에서는 총임금율은 낮지만 총수입율이 높고 감응도계수가 큰 제Ⅶ산업군에 대한 정책적 배려가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ripple effect of wage and exchange rate fluctuations on manufacturing industry in Korea through the inter-industry linkage structure, and suggests direction of government employment policy or exchange rate policy. To this end, the effects of wage and exchange rate fluctuations on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industry and sensitivity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the 6th industry group consisting of 19, 20, 24, and 26 industries, especially those that need policy consideration. These industries are not sensitive to rising wages due to low total wage rates, but they are sensitive to exchange rate fluctuations because they have a high gross income.
Especially, the industries included here are petroleum, chemical and first metal products industry, and they are the main industries of Korea. Therefore, Korea is an industry that is highly sensitive to exchange rate fluctuations because it imports all of the raw materials of these industries and is highly dependent on exports of products. In addition, these industries are intermediary industries, which have a significant ripple effect on other industries and thus require considerable policy consideration. The VII industry group consists of 25, 29, and 33. In other words, these industries are the manufacturing industries of metal movable products and machinery equipment products, which produce finished products, which is a labor intensive industry with a low total import rate but a high total wage rate. Therefor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policy consideration for these industries in the current situation of severe unemployment. It also has a ripple effect on other industri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모형 설정
Ⅲ. GDP와 임금 및 환율 변동 추이
Ⅳ. 산업별 파급효과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