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Korean-American Council’s Petition Diplomacy: Diplomacy for the United States’ Military Support of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
- 발행기관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 저자명
- 차현지(Hyeonji Cha)
- 간행물 정보
- 『한국정치외교사논총』제46집 제1호, 5~4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정치외교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시아·태평양전쟁기 이승만이 조직한 로비단체 한미협회가 추진한 군사 지원 청원 외교의 성격과 그 과정을 주목하였다. 한미협회는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미국정부로부터 대일전쟁 수행을 위한 군사적 지원을 얻게 하고, 또 미국정부가 한국인들을 대일전쟁에 군사 자원으로 활용하기를 바랐다. 이로써 한국과 미국이 군사 동맹관계를 수립해 양국이 유익을 얻는 것을 목적했다. 그렇기에 한미협회는 미 국무부 및 군부와의 교섭 시도 과정에서 임시정부 승인만을 요청하지 않고, 임시정부의 군대인 한국광복군을 포함한 한국인 군사 지원을 청원했다. 또 한국인을 대일전쟁에 활용한다면 미국의 국익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며, 이를 위한 선결조건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를 승인해야 한다고 역설했다. 이 같은 한미협회의 군사 지원 청원 외교 과정에는 다음과 같은 특징들이 확인된다.
첫째, 한미협회의 주된 교섭 대상이었던 미 국무부는 한미협회의 군사 지원 청원에 냉담하지 않았다. 국무부는 한미협회의 요청들을 미 군부에 전달함으로써 한국 신탁통치 계획안과는 별개로 한국인 대일전쟁 수행에 대한 우호적 입장을 확인시켰다. 이 같은 국무부와 한미협회 간의 소통 과정에서 미국정부의 대한정책 기조가 반영되었다.
둘째, 한미협회의 군사 지원 청원 방향은 당시 OSS(Office of Strategic Services)를 중심으로 진행된 한인군사 작전 계획에 합치되는 부분이 있었다. 이는 한미협회가 당시 미국정부의 한인 군사 관련 작전수립 상황을 일정부분 간파하고 있었음을 반영한다. 친한파 미국인 관료들을 중심으로 계획된 OSS와 한국광복군의 군사 합작 계획에는 임시정부와 광복군의 전쟁수행 역량 및 신뢰성이 입증되어야 했다. 한미협회의 군사 지원 청원 외교는 이를 입증하는데 있어 한 축을 담당하는 과정이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d on research about the nature and process of Syngman Rhee’s lobbying association, the Korean-American Council’s military petition during the Pacific War. The Korean-American Council desired to receive military aids from the U.S. Government for the Korean Provisional Government(KPG)’s military operations. Also, the council hoped to build the U.S.-Korea alliance by solidifying the military relationship between the KPG and the U.S. Therefore, the council members highlighted the petition for military assistance for Koreans, rather than only requesting approval of the KPG as the official Korean government during negotiation attempts with the U.S. State Department and U.S. military organizations. In the course of negotiation, the U.S. government largely emphasized its military interests related to U.S.-Korean military associ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negotiations were found as follows.
First, During the negotiations, the U.S. Department of State, which was the main target of the Korean-American Council’s diplomacy, did not disregard the negotiation. However, the State Department delivered information about the Korean-American Council’s military petitions to the U.S. military organizations. Thereby, the State Department, despite its plan of Korean Trusteeship, let the Korean-American Council understand the State Department’s favorable opinions on the KPG’s will of carrying out war operations against Japan.
Secondly, the Korean-American Council’s military petitions aligned partially with the Korean-U.S. military operation plan prepared by the OSS at the time. This reflects the council members’ awareness of the need to forge the Korean military operations led by the U.S. government. However, there was a task that Korea’s military capacity and reliability had to be demonstrated before practicing the plan devised by OSS. In the course, the Korean-American Council’s military petitions played a certain important role.
목차
Ⅰ. 서 론
Ⅱ. 한미협회의 성격과 창설 목적
Ⅲ. 한미협회의 외교 역할: 미 국무부와의 관계
Ⅳ. 한미협회의 군사 청원 외교 방향
Ⅴ.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