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omparison of Clinical Effects of Direct Pressure and Hemostatic Pad Use after Radial Artery Puncture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이희영(Hee-Young Lee) 성실(Sil Sung) 김창환(Chang-Hwan Kim) 전혁진(Hyeok-Jin Jeon) 김현(Hyun Kim)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2 No.1, 263~269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직접 압박(비교군), 키토산성 지혈 패드(실험군1), 비키토산성 지혈 패드(실험군2)를 비교하여 효과적인 요골동맥 지혈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지혈 효과와 합병증의 발생 차이를 확인하기 위한 카이제곱 검증 시 비교군, 실험군1, 실험군2의 지혈 효과를 나타내는 재출혈의 통계적 차이점을 확인할 수 없었으며(x2=2.939, p=0.230) 전체 합병증 발생 차이 또한 나타나지 않았다.(x2=1.090, P=0.580) 부종(x2=0.711, p=0.701), 통증(x2=0.221, p=0.895)에도 통계적 유의성을 확인하지 못했으며 통증 점수의 평균 차도 발생하지 않았다. 기타 합병증에서는 그룹별 차이를 확인하였다.(x2=7.140, p=0.028) 키토산성 지혈 패드가 직접 압박과 비키토산성 지혈 패드보다 효과적인 지혈 효과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명확한 실험을 위해 다양한 연령층을 포함하여 대상자 수를 증가시킨 다기관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find an effective radial artery hemostasis method by comparing direct pressure (control group), chitosan hemostatic pad (case group 1), and non-chitosan hemostatic pad (case group 2). As a result of the study,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rebleeding (x2=2.939, p=0.230), edema(x2=0.711, p=0.701), and pain(x2=0.221, p=0.895). There was no mean difference in pain scores, and there was statistical significance in other complications.(x2=7.140, p=0.028) Chitosan hemostatic pads do not have a more effective hemostatic effect than direct pressure and non-chitosan hemostatic pad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결과
4. 고찰
5. 결론 및 제언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