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Korea Welfare Panel 2nd study on health status and chronic disease status according to income class classification and disability: Based on KOWEPS 18th wave(2024)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양옥렬(Ok-Yul Yang) 이연희(Yeon-Hee Lee)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2 No.1, 247~254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보건의료빅데이터를 활용한 보건의료이용율에 대한 2차연구이다. 2024년 3월부터 배포하고 있는 한국복지패널의 18차 웨이브 데이터를 활용하여 소득계층, 장애 여부에 따른 만성질환, 건강상태, 외래 및 입원 등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18차 웨이브 raw data를 통계패키지 툴인 R을 사용해 추출한 국내 거주자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중 각 가정별 거주자 중에 세대주에 해당하는 제1거주인의 소득(연봉, h18cin, income) 변수와 건강상태정보(h1808_2, health) 변수와 결측치(NA) 없는 균등화소득에 따른 가구구분 통합표본(h18_hc_n_all, low_income_tot)으로 7,654명 전체를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80대의 OPD 비율이 가장 높고, 저소득가정이 일반가정에 비해 장애비율이 높고 뇌병변 장애가 월등히 높으며, 60대에서 80대까지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음' 비율이 86.5%로 높았다.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음'의 노년층의 입원비율이 80.3%로 가장 높고, 장애정도가 심하지 않은 6개월이상 만성질환자의 비율이 월등히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econdary study on health care utilization rate using health care big data. Using the 18th wave data of the Korea Welfare Panel, which has been distributed since March 2024,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chronic diseases, health status, outpatient and hospitalization, etc. according to income class and disability. Data analysis was extracted using R, a statistical package tool, and the subjects were 7,654 people, including income variables, health status, disability, and degree of disability of the primary resident, who is the head of the household. In conclusion, the OPD rate in those in their 80s, the disability rate in low-income families compared to general families, and brain lesion disability were significantly higher, and the 'not severe degree of disability' rate was high (86.5%) from the 60s to the 80s. The IPD rate (80.3%) among the elderly with ‘not severe disability’ and the rate of those with chronic diseases for more than 6 months were very high.
목차
1. 서론
2. 본론
3. 결과
4. 결론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