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Motivations for Suicide and the Related Factors Based on Korean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depth Injury Survey
- 발행기관
- 한국의료정보교육협회
- 저자명
- 양유정(Yu-Jeong Yang)
- 간행물 정보
- 『보건의료생명과학논문지』Vol.12 No.1, 201~209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의약학 > 의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질병관리청의 퇴원손상심층조사 원시자료 2018년부터 2022년까지 총 1,483,562건 중 퇴원환자의 자살동기 유형이 있는 4,838건을 추출하였으며 미상을 제외한 3,714명을 최종 연구 대상 자료로 SPSS Statistics version 29.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년도별로는 2021년, 성별은 여자, 연령은 19~44세, 병원소재지는 경기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손상발생 장소는 주거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연구대상자의 진료 특성은 주수술여부는 주수술 안함, 치료결과는 호전됨(완쾌, 경쾌)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주진단 상위 10위는 약물·약제 및 생물학적 물질에 의한 중독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자살동기 유형별 특성은 정신적 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자살동기 유형의 연관성 살펴본 결과 성별, 연령, 병원소재지, 손상발생장소, 주진단 상위 10위와 자살동기 유형과는 유의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중 정신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로 자살의 연관성 요인을 파악하여 각 요인에 대한 사회 맞춤형 대책과 자살예방을 위한 국가적인 정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elected 4,838 cases of discharged patients with suicidal motivation out of 1,483,562 raw data from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s National Hospital Discharge Injury Data from 2018 to 2022 as the final study subjects. Excluding the unknown cases, 3,714 were analyzed using SPSS Statistics version 29.0.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the general characteristics, this study reveals that 2021 by year, female by gender, 19~44 by age, Gyeonggi-do by hospital location, and dwelling by the location of damage occurrence are scored highest. As for the treatment characteristics, no major surgery by surgical history, recovery (complete, improved) in treatment results, and drug/pharmaceutical and biological substances-induced addiction by top 10 principal diagnoses scored the highest. The mental health issue scored the highest in suicide motivation type. Second, regarding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nd the suicide motivation type, a significant association is seen in gender, age, hospital location, location of damage occurrence, and top 10 principal diagnoses, not least about the mental health issue. The results of the paper would suggest the need for the national policy in customized solutions regarding each factor and suicide prevention by identifying the suicide-induced factors.
목차
1. 서론
2. 연구방법
3. 연구결과
4. 결론 및 고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