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인 및 경력열망의 조절효과 검증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Antecedents, Outcomes, and Moderating Effect on Career Aspiration of Organizational Career Retain
발행기관
아시아.유럽미래학회​
저자명
김병우(Byung-Woo Kim) 양성국(Sung-Kuk Yang)
간행물 정보
『유라시아연구』제18권 제4호, 121~143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1.12.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4차 산업혁명의 도래와 COVID-19 시국이라는 기업환경 및 고용노동시장 하에서 기업입장에서의 유효성 제고와 조직구성원의 직업 및 경력유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배태성은 주로 구성원들의 이직과 관련되어 연구가 이루어져 왔으나, 인사조직 연구로 확장되면서 조직을 이탈하기보다 조직에 머무르는 이유에 관한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구성원의 사회적인 웹을 반영하는 배태성의 핵심측면으로 직무수행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동료와 집단 내에서의 상호작용, 그리고 조직에 대한 구성원의 애착을 유발하는 연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또한, 기업조직의 유효성 제고를 위한 조직구성원의 직무수행으로는 적극적 행동과 심리적 철회행동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오늘날 조직과 구성원 간의 핵심이슈라고 할 수 있는 인재관리, 경력관리와 관련하여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의 매개효과와 개인의 특성을 반영하는 변수로서 경력열망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의 실증분석을 위해 제주도 내 민간기업 및 공기업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응답을 실시하고, 220부를 분석 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는 배태성(연계)과 적극적 행동의 관계에서 부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으나, 배태성(연계)과 심리적 철회행동의 관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매개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배태성(연계)과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 간의 관계를 강화할 것으로 설정했던 경력열망의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검증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관한 논의에서는 본 연구를 통한 이론적·실무적 시사점에 대해 제시하고,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 과제를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focuses on enhancing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nd maintaining the jobs and careers of organizations’ members from the viewpoint of companies in the current business environment and labor market amidst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introduction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udies on embeddedness had previously focused on the employees changing jobs, but they have since been expanded to explore the reasons pertaining to why employees choose to stay in an organization rather than leaving. This study highlights the interactions between employees and groups when performing tasks and focuses on the associations that encourage employees to form an attachment with the company, both of which are important aspects of embeddedness that reflect the social web of organizations’ members. It also examines taking charge behaviors and psychological withdrawal behaviors with respect to work the performance of employees to enhanc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urthermore, this study verifies the moder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 as a variable that reflects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areer retain and individuals’ characteristics with regard to human resources and career management, which are core issues involving an organization and its members. A self-report survey of the employees working in private and public companies in Jeju Island was conducted to empirically analyze the hypotheses set in this study. Overall, 220 respons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organizational career retain had a partial mediator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beddedness (link) and taking charge behavior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beddedness (link) and psychological withdrawal behaviors. Moreover, there was no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f career aspiration, which was initially expected to streng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embeddedness (link) and organizational career retain. Lastly,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this study’s findings are discussed along with its limitations and future research task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가설
Ⅲ. 연구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병우(Byung-Woo Kim),양성국(Sung-Kuk Yang). (2021).조직 내 경력지속의지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인 및 경력열망의 조절효과 검증. 유라시아연구, 18 (4), 121-143

MLA

김병우(Byung-Woo Kim),양성국(Sung-Kuk Yang). "조직 내 경력지속의지의 선행요인과 결과변인 및 경력열망의 조절효과 검증." 유라시아연구, 18.4(2021): 121-143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