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ystematic Review of Digital Textbook for Special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희주(Heeju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5호, 71~8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와 관련하여 수행된 연구성과들을 분석 및 고찰하기 위함이다.
방법 1997년부터 2023년까지 이루어진 국내 학술저널에 출간된 22편의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들을 분석대상 논문으로 선정하여 연구시기에 따른 연구주제, 연구대상, 연구주제별 연구방법에 대한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결과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연구는 2008년부터 2013년 시기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연구대상은 특수교육 관련 전문가를 대상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특정 장애 유형보다는 전반적인 장애 유형의 초등학교급 국어, 수학, 사회, 과학 교과목에서 이루어졌다. 2008년부터 2013년 시기에는 설계방향 연구, 매체효과분석 연구, 인식 및 요구조사 연구등 다양한 주제의 연구들이 수행되어 왔다. 연구주제에 따른 연구방법 동향은 디지털 교과서 설계방향에 대하여 문헌연구와 질적연구가 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연구는 부족한 편이었다.
결론 연구결과를 토대로 장애학생 디지털 교과서 관련 논의와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n digital textbook for special education.
Methods A total of 22 articles published from 1997 to 2023 were analyzed according to research subjects, topics, and methods.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 that the most research on digital textbook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conducted between 2008 and 2013.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numbers of research have focused on all types of disabilities rather than a specific type of disability using digital textbook on Korean, mathematics, social studies, and science subjects. From 2008 to 2013, research on various topics has been conducted, including design direction research, media effect analysis research, and perception and demand survey research. As for research method trends according to research topic, literature research and qualitative research were mainly conducted on the direction of digital textbook design.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implications and issues were suggested for the future research.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