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Experience and Preference of Participation in Student Activity-Based Classe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종숙(Jong Suk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617~632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교양수업에서 학생활동중심 수업 참여 경험과 수업유형별 학생활동중심 수업 참여 선호도를 파악하여 교양교육의 질 향상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경남 소재 I대학교 2023학년도 2학기 재학생을 대상으로 학생활동중심 수업 참여 경험 및 선호도를 조사하기 위해 질적연구와 양적연구를 혼합한 연구설계를 적용하였다. 질적 연구로는 FGI를 통해 57명의 참여자의 의견을 귀납적으로 분석하였고, 양적 연구로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해 226명의 참여자 데이터를 수집하여 SPSS Statistics 27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 응답자의 47.8%가 교양수업에서 학생활동중심 수업에 참여했으며, 긍정적인 학습경험을 했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인문학 수업에서는 토론과 상호작용 중심 수업, 디지털 수업에서는 실습과 자기주도 학습, 즐거운 만남 수업에서는 지역사회 연계 및 협력 학습을 선호하였다.
결론 교양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시사점으로 학생참여 중심의 수업설계, 상호작용 학습 촉진, 온라인 수업과 블렌디드 학습환경의 효과적 활용, 실천중심의 학습활동 강화, 학생의 다양한 학습 선호도 고려 등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dentifies students' experiences of participating in activity-based classes in liberal arts classes and their preferences for participating in activity-based classes by class type,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mixed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research design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preferences of students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2023 academic year at I University in Gyeongnam to participate in student activity-based classes. For the qualitative study, the opinions of 57 participants were inductively analysed through FGI(focus group interview), and for the quantitative study, data from 226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survey and analysed using SPSS Statistics 27 program.
Results The study found that 47.8% of respondents participated in student activity-based classes in liberal arts classes and reported a positive learning experience. They also preferred discussion and interaction in humanities classes, hands-on and self-directed learning in digital classes, and community and collaborative learning in Pleasant encounters classes.
Conclusion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quality of liberal arts education include designing lessons centred on student engagement, promoting interactive learning, making effective use of online and blended learning environments, enhancing action learning activities, and considering students' diverse learning preferenc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