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utoethnography on a Counselor's Healing Experience Through Self-Reflec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이희숙 양지웅(JiWoong Y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563~58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국문 초록
목적 나의 이야기는 한 상담자가 겪었던 상처에 대한 자기성찰 경험과 그로 인해 나타난 변화와 성장의 과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 상담자의 경험을 탐색해 보기 위해서 자문화기술지를 적용하였다. 나는 자기성찰을 통해 일어난 관점의 변화가 유발하는 치유경험을 기술하였다. 이를 위해 기억자료, 회상자료, 면담자료 등을 분석하여 기술하였다.
결과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 나는 존재와 감정에 대한 거부적 경험이 내재화된 채로 성장하였다. 이러한 경험에 대한 성찰경험을 통해서 나의 존재와 감정에 대한 수용적 태도를 갖게 되었고, 그로 인해 나의 삶에 대해 조금 더 유연한 관점을 갖게 되었다.
결론 나의 이야기는 상처 입은 치유자로서 한 개인이자 상담자가 자기성찰을 통해서 어떻게 변화해 나가는지를 보여주는 하나의 상담학적 사례라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my story is to examine a counselor's experience of self-reflection on the wounds he suffered and the process of change and growth that occurred as a result.
Methods Autoethnography was applied to explore the counselor's experience as a wounded healer. I described a healing experience triggered by a change in perspective brought about through self-reflection. To do this, I analyzed and described memory datas, recall datas, interview datas, and so on.
Results As a wounded healer, I grew up with internalized experiences of rejection of being and feelings. Through reflection on these experiences, I have developed an accepting attitude toward my being and feelings, which gave me a more flexible perspective on my life.
Conclusions My story is meaningful in that it is a counseling example that shows how an individual and counselor, as a wounded healer, changes through self-reflection.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