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zing Research Trends on Happiness Education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하늬(Hani Kim) 김영환(Younghwa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519~53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행복교육 발전을 위한 기초 자료 형성을 위해 관련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향후 연구의 개선 방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방법 RISS에서 ‘행복’과 ‘교육’ 관련 키워드의 조합을 사용하여 검색하고, KCI 등재 224편, KCI 등재후보 24편, 총 248편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후 논문 편당 5개의 주제어를 선정하여 총 1240개의 주요 주제어를 도출하였고, 이들의 상관관계를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을 시행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2년 전후로 연구물의 수가 양적으로 증가하였다. 둘째, 학술지 분석 결과, 유아를 대상으로 한 학술지에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고, 도덕 및 윤리관련 학술지에서도 연구가 활발하다. 셋째, 주제어 빈도수 및 워드 클라우드 분석 결과, 교육 프로그램 관련 키워드와 유아교육 관련 키워드가 많이 나타났다. 넷째,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 결과, 유아교육 관련 키워드의 영향력이 높았으며 ‘정책’ 관련 키워드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주요 결론 및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발행 편수의 증감이 긍정심리학이나 OECD의 인도적 전환(humanitarian turn)에 발맞춘 정부 정책의 변화 등 외부적 요인에 크게 좌우되었다. 외부적 요인의 영향과 관계없이 관련 연구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둘째, 유아교육에 집중됐던 연구는 중등교육과 고등교육, 평생교육으로 확장되어야 한다. 셋째, 교육프로그램의 단기적 적용 및 만족도 조사에만 그칠 것이 아니라, 장기적 관점 아래 관련 교육 커리큘럼 혹은 정책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로 나아가야 한다. 넷째, 인성교육과 행복교육의 관계 정립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섯째, 외국의 행복교육 실천 사례에 대한 보다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s about happiness education to form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related research and explore directions for the improvement of future research.
Methods A total of 248 papers were selected by searching for two keywords, ‘happiness’ and ‘education’, from the titles of papers uploaded on RISS, including 224 KCI-listed papers, 24 KCI candidate papers. After selecting 5 keywords per paper, a total of 1,240 main keywords were derived, and their correlations were analyzed through network text analysis.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number of research works increased quantitatively around 2012. Second, in the analysis of academic journals, research was conducted mainly in journals targeting preschoolers, and research was also active in journals related to ethics and morality. Third, in the analysis of keyword frequencies and word cloud, many keywords related to educational programs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found. Fourth, in the network text analysis, the influence of keywords related to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high, and policy-related keywords were not visible.
Conclusions The main conclus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publications by year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boom of positive psychology after the introduction of related works in Korea and changes in government policies in line with OECD's humanitarian turn. Continuous interest in related research is needed regardless of external factors' influences. Second, research focused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should be expanded to secondary education, higher education, and lifelong education. Third, research should move beyond short-term applic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atisfaction surveys to research on developing related educational curricula or policy model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Fourth, it is needed tha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education and happiness education. Fifth, more diverse research is needed on examples of happiness education practices in foreign countri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