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Consensual Qualitative Study on the Experience of Utilizing Communication-Focused Board Games in Educational Counseling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성남(Sung Nam Park) 강정원(Jung Won Kang) 김인숙(In Sook Kim) 장은주(Eun Ju Jang) 양지웅(Ji Woong Y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243~26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보드게임을 교육 상담의 매체로 사용하는 교육 상담자의 의사소통 중심 보드게임 활용 경험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것이었다.
방법 이를 위하여 보드게임 활용경력이 1년 이상인 상담자 9명이 연구 참여자로 선정되었다. 의사소통 중심 보드게임 활용 상담자의 상담경험을 탐색하기 위해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CQR)을 사용하였으며, 평균적으로 80분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결과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합의팀과 감수자의 감수과정을 통해 도출된 전체 영역 및 범주는 최종적으로 ‘의사소통 지식적 경험’, ‘의사소통 기술적 경험’, ‘의사소통 태도적 경험’의 3개 영역과 2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이나 상담에서 보드게임 선택, 활용하는 방법과 평가기준을 제시해준다는 데에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eply explore the experiences of counselors using board games as a medium in counseling, focusing specifically on their experiences related to communication-focused board game utilization.
Methods For this purpose, nine counselors with at least one year of experience in using board game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To explore their counseling experiences with board games,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 was employed, and interviews were conducted about 80 minutes in length.
Results The study resulted in the identification of three main areas; ‘Knowledge-based experiences in communication’, ‘Skill-based experiences in communication’, and ‘Attitude-based experiences in communication’, from which 25 categories were derived.
Conclusion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are significant in providing methods and criteria for selecting and utilizing board games to enhance communication skills in education and counseling settings.
목차
Ⅰ. 서론
Ⅲ. 연구 방법
Ⅳ. 결과 및 논의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