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QR code learning and video self-learning education: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정은경(Eunkyung Jung) 정지연(Jiyeon Ju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4호, 159~169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QR코드를 활용한 동영상 교육 모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수집하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방법 QR코드 관련 선행연구와 동영상 자가학습 관련 연구를 분석하기 위해 체계적인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2008년 1월부터 2024년 1월까지 국내 학술정보 검색 서비스를 활용하여 ‘학습자’, ‘학생’, ‘교육생’, ‘QR’, ‘QR코드’, ‘학습’, ‘교육’, ‘동영상’, ‘자가학습’, ‘술기’, ‘자기효능감’, ‘지식’, ‘태도’ 등의 키워드로 논문을 검색하였다. QR코드에 관한 총 61개의 연구가 확인되었으며, 그 중 10개가 선정되었고, 동영상 자가학습에 관한 183개 연구를 검토하였고 9개 연구를 선정하였다.
결과 QR코드 생성은 NAVER를 주로 활용하여 생성하였다. QR코드 활용은 동영상 자료가 일반적으로 활용되었고 사진, 퀴즈, 형성평가, 학습과 관련된 링크, PPT(Power point)를 제공하여 교육에 활용하였다. QR코드 기반 교육은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동영상을 통한 자가학습은 자기효능감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결론 QR코드 동영상 교육은 자기주도적 학습을 위한 보조매체로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to gather fundament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video education model utilizing QR codes.
Methods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to analyze prior research involving QR codes and studies related to video self-learning. Utilizing Korean academic information search services from January 2008 to January 2024, articles were searched using keywords such as ‘Learner,’ ‘student,’ ‘trainee,’ ‘QR,’ ‘QR code,’ ‘learning,’ ‘education,’ ‘video,’ ‘self-learning,’ ‘skill,’ ‘self-efficacy,’ ‘knowledge,’ ‘Attitude,’ etc. A total of 61 studies on QR codes were identified, from which 10 were selected. Additionally, 183 studies on video self-learning were reviewed, resulting in the selection of 9 studies.
Results QR code creation was a simple process, and video materials were primarily integrated, and there were various educational media that could be applied to learning using QR codes. QR code-based education demonstrated a positive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elf-study through videos was associated with increased self-efficacy.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QR code video education can serve as a supplementary medium for self-directed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