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alidity Examination of Items Related to Adolescent Emotional Problems through Rasch Modeling
- 발행기관
- 한국열린교육학회
- 저자명
- 권순보(Soonbo Kwon) 유진은(Jin Eun Yoo) 최인희(In-Hee Choi)
- 간행물 정보
- 『열린교육연구』제32권 제4호, 153~17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Rasch 모형에 속하는 부분점수 모형과 평정척도 모형을 활용하여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5차년도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정서 문제 관련 36개 문항의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모형적합도, 개별문항의 적합도, 응답척도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서 관련 문항은 부분점수 모형과 평정척도 모형에 모두 부합하였다. 즉, 청소년 정서 관련 문항을 4점 척도의 응답범주로 구성하는 것은 부분점수 모형과 평정척도 모형에서 모두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분점수 모형이 평정척도 모형에 비해 통계적으로 적합도가 높았다. 따라서 각 문항마다 척도의 동간성을 가정하지 않는 부분점수 모형이 동간성을 가정하는 평정척도 모형에 비해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분점수 모형 결과로부터 신체증상과 우울 문항이 심각한 수준의 정서 문제를 진단하는 데 유용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문항별 임계값 분석을 통해 각 응답 범주 사이에서 일어나는 심리적 변화의 순간을 보다 세밀하게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논의를 제시하고, 후속연구를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36 items related to emotional problems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using Rasch models. Specifically, the analysis focused on the 2018 data from high school sophomores in the 5th wave of KCYPS, employing both the Partial Credit Model (PCM) and the Rating Scale Model (RSM).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ll 36 items were found to fit both the PCM and RSM, indicating that the 4-point response categories were appropriate for both models. Second, the PCM, which assumes non-equidistant thresholds, demonstrated a statistically better fit than the RSM, which assumes equidistant thresholds. Third, items related to somatization and depression were particularly effective in capturing threshold shifts of emotional problem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tudy discusses modeling options for threshold estimation and proposes future research topics, including the application of longitudinal item response theory to KCYPS data.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