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이미진(Mi-Jin Lee) 박분희(Bun-Hee Park)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2호, 75~100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취목표지향성이 학업지연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서 학습몰입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광주·전남 지역 4개교에 재학 중인 1∼4학년까지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여 총 245명의 자료가 수집되었으며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숙달접근목표와 학업지연행동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몰입은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둘째, 숙달회피목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몰입은 부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수행접근목표와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몰입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수행회피목표와 학업지연행동과의 관계에서 인지적 몰입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다섯째, 성취목표지향성 4개 하위요인과 학업지연행동과의 관계에서 정의적 몰입은 매개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성취목표지향성과 학습몰입이 학업지연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대학생들의 학업지연행동 문제를 감소하기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기초자료로 제공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f college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learning flow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For this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n college students from 1st to 4th grade attending four schools in the Gwangju and Jeonnam regions, and a total of 245 data were collected,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on the data using the SPSS 21.0 program.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flow had a ful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approach goal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Second, cognitive commitment had a partial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stery avoidance goal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Third, cognitive commitment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pproach goal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Fourth, cognitive commitment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voidance goals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Fifth, affective flow did not show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our subfactors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cademic procrastination behavior. This study can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reduce academic procrastination problems among college students by revealing tha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learning flow can affect academic procrastin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