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fferences in Creativity and Self-concept between Gifted Children Non-gifted Children
- 발행기관
- 한국영재교육학회
- 저자명
- 박송현(Song-Hyun Park) 이경화(Kyung-Hwa Lee) 배희라(Hee-Ra Bae)
- 간행물 정보
- 『영재와 영재교육』제23권 제2호, 59~74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영재유아와 비영재유아의 창의성 및 자아개념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다. 연구 대상자는 서울 S센터에서 영재판별검사를 받은 만 3~5세 유아 237명이다. 검사도구는 유아 통합창의성검사와 자아개념 검사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는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두 독립집단 t-테스트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재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은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고, 비영재유아의 창의성과 자아개념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다. 둘째, 영재유아의 창의성이 비영재유아 보다 높았다. 셋째, 영재유아와 비영재유아의 자아개념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영재유아의 자아개념 평균이 비영재유아 보다 높았다. 본 연구의 결론은 첫째, 영재유아를 판별하고 발굴할 때 창의성과 자아개념을 활용한 다면적인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유아기에 긍정적인 정의적 발달을 촉진하기 위한 심리적 돌봄과 지원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reativity and self-concept between gifted children and non-gifted childre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included 237 children ages 4 to 6 who received the giftedness diagnosis test at the SIGT Center in Seoul. The data were progressed statistically through two independent group t-test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gifted children was positively significant, a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eativity and self-concept of non-gifted children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creativity of gifted children was higher than that of non-gifted children. Thir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ifted children and non-gifted children regarding self-concept. The conclusion of this study was that, first, a multi-faceted evaluation using creativity and self-concept when identifying and discovering gifted children is important. Second, there is a need for psychological care and support to promote positive affective development in infanc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