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lationship between Negative Emotions, Family Resilience, Self-Esteem and Suicide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김민경(Min-Kyeong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1, 61~83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3.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대학생의 부정적 정서, 가족탄력성, 자존감과 자살생각과의 관계에서 자살생각에 미치는 변인들의 영향력과 경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과 경기지역에 있는 대학생 295명을 대상으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사용된 척도는 Bradburn(1969)의 부정적 정서, 유영주(2004)의 가족건강성 척도 중 가족탄력성, Rosenberg(1965)의 자존감 척도와 Reynold(1988)의 자살생각척도이다. 자료분석은 기술통계, ANOVA, 상관관계와 구조모형방정식을 통한 경로분석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라 여자대학생이 남자대학생보다 부정적 정서가 높게 나타났으며 남자대학생의 자존감은 여자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경제수준이 높은 집단일 때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변인들의 상관관계를 보면 대학생 전체집단에서 부정적 정서와 자살생각과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부정적 정서는 가족탄력성과 자존감과 유의한 부적 관계를 나타내었고,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은 자살생각과 유의한 부적관계를 보였다. 셋째, 경로분석 결과 부정적 정서가 자살생각에 직접적 정적 영향을 주고 있어 부정적 정서가 높을수록 자살생각을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이 낮을수록 자살생각은 높게 나타났다. 부정적 정서는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을 통해 자살생각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생각에는 가족탄력성도 자살생각에 직접적 영향을 주고 있으나 자존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대학생의 자살생각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부정적 정서를 감소시키고 가족탄력성과 자존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안들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negative emotions, family resilience, self-esteem and suicide ideation, and to explore the mediating role of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between negative emotions and suicide idea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295 university student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requency, ANOVA, Pearson's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by SPSS and AMOS. The instruments used were Reynold(1988)'s Suicidal Ideation Questionnaire, Yu(2004)'s Family Health Scales, Rosenberg(1965)'s Self-Esteem Scale, and Bradburn(1965)'s Negative Emotion of Happiness.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university students' sex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negative emotions and self-esteem and their family economic statu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Negative emot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and positively correlated with suicide ideation.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icide ideation.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s of negative emotion and suicide ideation, and self-esteem mediated the effects of family resilience and suicide ideation. Negative emotion influenced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negatively but suicide ideation positively.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influenced suicide ideation negatively. In conclusion, it is important to intervene in university students' suicide ideation through special education program and counseling in order to build family resilience and self-esteem.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