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Phonics Training based on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Awareness on Reading and Writing Abilities in Children with Reading Difficulti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변세진(Se-Jin Byun) 김수경(Soo-Kyung Kim) 정경희(Kyunghee Jung)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2, 289~30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음운인식을 기반으로 한 파닉스 중재와 형태 인식을 포함한 통합 파닉스 중재 프로그램을 비교하여 읽기부진 아동에게 보다 효율적인 중재 방법을 찾는 것이다. 방법: 초등 읽기부진 아동 18명을 선정하여 두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였다. 검사도구로는 KOLRA의 하위유형인 해독, 문단글 읽기유창성, 읽기이해, 받아쓰기와 문장 읽기 및 쓰기 검사를 개발하여 적용하였고, Jung (2014)의 형태인식 능력 과제를 사용하였다. 결과: 첫째, 해독 영역에서 두 실험집단 모두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반면 읽기이해와 읽기유창성에서는 형태인식을 포함한 통합 파닉스 훈련 집단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였으나, 음운인식을 기반한 파닉스 훈련집단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통제집단은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받아쓰기 영역에서 두 집단모두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두 실험집단 모두 음운인식 과제와 형태인식 능력 과제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연구결과, 읽기부진 아동에게 음운인식 및 형태인식을 결합시킨 파닉스 중재 프로그램이 읽기와 쓰기뿐만 아니라 메타인식 능력에도 효과를 보여 형태인식 훈련을 포함한 중재가 읽기 영역에 광범위하게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more efficient intervention methods for children with poor reading by comparing phonics intervention based on phonological awareness and with integrated phonics group including morphological awareness. Methods: 18 children with poor reading skills in elementary school were selected and classified into two experimental groups and a control group. Decoding, paragraph reading fluency, reading comprehension, dictation, and sentence reading and writing tests were administered as assessment tool. Additionally Jung (2014)’s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 task was utilized. Results: First, both experimental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decoding skills. However, in terms of reading comprehension and fluency,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integrated phonics training group including morphological awarenes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onics training group based solely on phonological awareness.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a significant increase in all areas. Second,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dictation skills, while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ird, both experimental groups significantly increased their scores in phonological awareness tasks and morphological awareness ability tasks. Conversely, there was no significant increase observed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It is significant that the phonics intervention program, which integrates phonological and morphological awareness for children with poor reading skills, has an effect not only on reading and writing, but also on meta-recognition ability. This indicates that interventions, including morphological awareness training, have a broad impact on the realm of reading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