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Comprehension, Story Grammar Production, and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Age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and without Vocabulary Dela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오유림(Yoorim Oh) 임동선(Dongsun Y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vol29. no.2, 211~23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연구는학령전기 한국어-영어이중언어어휘발달지연 아동과이중언어일반아동의이야기이해및이야기문법산출능력과 집행기능의 관계를 검토하고자 하였다. 방법: 만 4-6세 한국어-영어 이중언어사용 아동 30명(일반 17명, 어휘발달지연 13명)을대상으로 작업기억 과제(비단어 따라말하기, 단어목록회상, 매트릭스), 억제 과제(과일 스트룹), 전환 과제(차원전환카드분류)를 실시하였다. 이야기 능력 평가를 위해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 과제를 한국어와 영어로 실시하였다. 결과: 이중언어 어휘발달지연아동 집단은 작업기억, 억제, 전환 과제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으며, 한국어와 영어로 실시한 이야기 이해 및 이야기 문법 산출과제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이중언어 일반 아동 집단의 한국어 이야기 이해 능력은 영어 이야기 이해, 한국어 이야기 문법산출, 영어 이야기 문법산출과상관관계가 있었다. 반면에 이중언어 어휘발달지연 아동집단에서는 한국어 이야기이해만이 한국어 이야기 문법 산출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중언어 일반 아동 집단에서는 매트릭스가 영어 이야기 이해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고, 단어목록회상은 한국어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논의 및 결론: 아동의 이야기 이해 능력과 이야기 문법 산출 능력, 집행기능 하위요소 간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이중언어 아동의 문해력과 학업성취를 위한 내러티브 교육 및 중재 시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grammar abilities, as well as executive function in preschool Korean-English bilingual children with vocabulary delay (VD) compared to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and examined predictors of their narrative abilities. Methods: A total of 30 children (13 children with VD, 17 TD children) aged from 4-6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Children performed non-word repetition (NWR) and word list recall for verbal working memory, matrix for nonverbal working memory, fruit stroop for inhibition, and Dimensional Change Card Sort (DCCS) for shifting. They also performed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grammar production tasks in both languages to assess their narrative abilities. For data analyses,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ere conducted. Results: The VD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working memory, inhibition, shifting tasks. Moreover, VD group ha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story comprehension and story grammar production tasks in both languages. In the TD group, Korean story comprehension performance was correlated with English story comprehension, Korean story grammar production, English story grammar production performances. On the other hand, in the VD group, only Korean story comprehension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Korean story grammar production performance. Lastly, matrix significantly predicted English story comprehension abilities and word list recall significantly predicted Korean story grammar production abilities in the TD group. Conclus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ren’s ability to understand stories, produce story grammar and sub-factors of executive function, we can improve the narrative education and intervention for bilingual children’s literacy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future.
목차
연구방법
연구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