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감의 조절효과

이용수 13

영문명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in the Correlation between Academic Stress for Adolescents and Happiness
발행기관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저자명
서종수(Jong-Soo Seo)
간행물 정보
『한국가족복지학』Vol.23 No.4, 595~611쪽, 전체 1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8.12.30
이용가능 이용불가
  • sam무제한 이용권 으로 학술논문 이용이 가능합니다.
  •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oderating effects of interpersonal competence on the effects of academic stress on happiness of adolescents. For this research a survey on academic stress, interpersonal competence, and happiness was conducted with a total 487 high school students living in Daegu city. The collected data was statically processed by using SPSS 20.0 according to frequency, descriptive statistics, and multi regression analysis. The mai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 First, Academic stress affected the adolescents` happiness. The higher the level of academic stress was, the smaller the adolescent`s happiness. second, between academic stress and happiness, conflict management and disclosing personal information played a moderating role to reducing the academic stress.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interpersonal competence played a moderating role on the effect that academic stress had on adolescent happiness. In conclusion, this study can be practically applied as basic information to increase happiness on adolescents. In addition, the results provided valuable insights for developing program the intervene for adolescents` happiness.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고찰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종수(Jong-Soo Seo). (2018).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3 (4), 595-611

MLA

서종수(Jong-Soo Seo).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행복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유능감의 조절효과." 한국가족복지학, 23.4(2018): 595-611

sam 이용권 선택
님이 보유하신 이용권입니다.
차감하실 sam이용권을 선택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