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Clay-Based Formative Art Activities on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영한(Younghan Kim) 하은정(EunJeong Ha)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3호, 39~59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2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점토 중심의 조형활동이 중복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그 하위요인인 공감, 협동성, 자기조절, 자기주장 등을 중심으로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2개 특수학교에 재학 중이며 지체장애와 지적장애를 함께 가지는 중복장애학생 8명을 대상으로 실험연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기술통계, 구형성 검증, 실험 효과성의 검증 절차를진행하였다. 이 모든 자료의 자료는 SPSS 27.0(win)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점토 중심의 조형활동은 중복장애학생의 공감을 향상시킨다. 둘째, 점토 중심의 조형활동은 중복장애학생의 협동성을 향상시킨다. 셋째, 점토 중심의 조형활동은 중복장애학생의 자기조절을 향상시킨다. 넷째, 점토 중심의 조형활동은 중복장애학생의 자기주장을 향상시킨다.
결론: 도출된 연구결과를 토대로 점토 중심의 조형활동이 중복장애학생의 사회적 기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교육적인 함의와 후속 연구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clay-based formative art activities on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focusing on their empathy, cooperation, self-regulation, and self-assertion, which are sub-factors.
Metho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experimental study was conducted on eight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who were attending two special schools and had both physical and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 experimental design of the repeated measurement of a single group was applied.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sphericity tests, and treatment effectiveness verification procedures were conducted. SPSS 27.0 (win) was utilized for data analysis.
Results: First, the clay-based formative art activities improved the empathy o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Second, the clay-based formative art activities increased the coopera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Third, the clay-based formative art activities improved self-regula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Fourth, the clay-based formative art activities increased the self-assertion o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Conclusion: Based on the derived result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bsequent studies on the effect of clay-based formative art activities on th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multiple disabilities were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