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Body Image and Quality of Life in Adolescents Living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 저자명
- 김민경(Minkyeong Kim) 카와마 켄노스케(Kawama, Kennosuke) 임용재(Yongjae Lim)
- 간행물 정보
-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3호, 21~3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20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지체장애를 가지고 살아가는 청소년들의 신체상(BI)과 삶의 질(QOL)의 특성과 수준, 그리고 그들 간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총 135명의 한국 지체장애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자기보고형식의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인구통계학적 변인,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MBSRQ), 그리고 WHOQOL-BREF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데이터의 분석에는 기술통계, Cronbach’s α, t -test, One-way ANOVA, 그리고 Pearson correlation analysis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BI의 전체 평균은 3.00 (SD =.46)이었다. BI의 하위요인별 평균은 Health evaluation (M=3.28, SD =.73), Health orientation (M=3.24, SD =.63), Fitness orientation (M=3.07, SD =.63), Appearance orientation (M=2.94, SD =.69), Fitness evaluation (M=2.85, SD =.93), 그리고 Appearance evaluation (M=2.63, SD =.75)의 순서로 나타났다. QOL의 전체 평균은 3.28 (SD =.61)이었다. QOL의 하위영역별 평균은Environment (M=3.43, SD =.71), Social relationships (M=3.36, SD =1.04), Physical (M=3.28, SD =.66), 그리고 Psychological (M=3.02, SD =.66)의 순서로 나타났다.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BI와 QOL은, BI는성별, 나이, 장애타입, ADL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QOL은 성별, 나이, ADL에 따라 통계적으로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BI와 QOL간의 관계에서는 Appearance orientation을 제외한 모든 BI의 하위요인과 QOL의 하위요인 사이에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한국의 지체장애 청소년들의 BI와 QOL은 전반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성별, 나이, 그리고 ADL이 BI와 QOL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체력 및 건강 관련 BI는 외모 관련 BI보다 QOL과 더욱 관련이 깊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한국의 지체장애 청소년들의QOL을 향상시키는 교육적 중재를 계획할 때는 이러한 요인에 주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안이 될 수 있을 것으로보인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levels, and relationships between body image (BI) and quality of life (QOL) among adolescents living with congenital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
Method: The web-based self-report survey was conducted with 135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 The survey questions included demographic variables, the Multidimensional Body-Self Relations Questionnaire (MBSRQ), and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Quality of Life Brief Version (WHOQOL-BREF).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α, t-test, one-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The mean BI score was 3.00±.46. By domain, the mean scores were as follows: Health evaluation (3.28±.73), Health orientation (3.24±.63), Fitness orientation (3.07±.63), Appearance orientation (M=2.94, SD=.69), Fitness evaluation (M=2.85, SD=.93), and Appearance evaluation (M=2.63, SD=.75). The mean QOL score was 3.28±.61. By domain, the mean scores were as follows: Environment (M=3.43, SD=.71), Social relationships (M=3.36, SD=1.04), Physical (M=3.28, SD=.66), and Psychological (M=3.02, SD=.66). Furthermore, BI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ge, type of disability,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while QOL significantly differed according to gender, age, and ADLs. All domains of BI, except for appearance orientation, were strong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QOL.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BI and QOL of Korean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generally positive. Gender, age, and ADLs are significant predictors of both BI and QOL among adolesc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Korea. Additionally, physical fitness and health-related BI ar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QOL than appearance-related BI. These findings highlight the need for targeted interventions that consider these factors to improve the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of this population.
목차
Ⅰ. Introduction
Ⅱ. Methods
Ⅲ. Results
Ⅳ. Discussion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