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Exploratory Study on Digital Stress in the Middle-Aged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이운경(Woon-Kyoung LEE) 이상희(Sang-Hee LEE)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2호, 135~15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중장년층을 대상으로 하여 일상에서 디지털 기기 및 제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구체적으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96명의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수정된 합의적 질적 연구 방법(CQR-M)을 사용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장년층이 디지털 기기나 제품을 사용하면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는 크게 6개영역, 18개의 범주로 도출되었다. 6개의 영역은 디지털 변화수용의 어려움, 적응에 대한 두려움과불안, 정보과부하와 피로감, 정보보안과 사생활 침해, 디지털 과다 사용, 내적 고립과 관계 변화로확인되었다. 디지털 기기의 이용 부담을 극복한 중장년층은 삶의 만족도를 비롯한 생활스트레스 감소, 건강만족도 등이 높아지는 것으로 보고되기 때문에 이들의 디지털 관련 스트레스를 살펴보는 것은 중장년층 삶의 향상을 도울 수 있는 실제적이고 효과적인 상담의 제공 및 도움의 방향을 제시할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digital stress experienced by middle-aged people while using digital devices or products.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data from 96 people was analyzed using CQR-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Digital stress was largely divided into 6 areas and 18 categories. Six areas were identified: difficulty in accepting digital change, fear and anxiety about adaptation, information overload and fatigue, invasion of information security and privacy, digital overuse, internal isolation and relationship change. Middle-aged people who have overcome digital stress are reported to have decreased stress in life, and increased in life satisfaction and health satisfaction, so examining their digital-related stress is a practical counseling approach that can help the middle-aged people.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