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ntegrated literature review on the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Focusing on journals from 2010 to 2023
- 발행기관
-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 저자명
- 김현지(Hyun-Ji KIM) 정대인(Dae-In JUNG)
- 간행물 정보
- 『상담심리교육복지』11권2호, 105~13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4.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국내 학술지를 대상으로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에 관한 통합적 문헌 고찰을 통해 향후연구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Torraco(2005)의 통합적 문헌분석방법에 따라 사회복지사의직무만족을 포함하는 키워드로 양적연구 논문을 검색하였고, 70편의 논문을 선정하여 다음과 같은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 연구에서 주된 키워드는 조직몰입, 이직의도, 자기효능감, 소진, 직무스트레스 순으로 나타났다. 사회복지사의 직무만족은 종속변인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개인적요인, 조직 및 직무요인, 환경요인과 같은 독립변인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연구의 방향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uggest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through an integrated review of the literature on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targeting domestic journals. To this end, according to the integrated literature analysis method of Tarraco (2005), quantitative research papers were searched with keywords including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selecting 70 papers. First, in the job satisfaction study of social workers, the main keywords were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self-efficacy, burnout, and job stress in order. Job satisfaction of social workers was most often used as a dependent variable, and it was found that it was affected by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personal factors, organizational and job factors, and environmental factors. Based on these research results, the direction and practical implications of future research were presented.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