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Trend Analysis on Play Beliefs of Early Childhood Teacher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권은정(Eun Jeong Kwon)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2호, 701~717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관련 국내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여 놀이신념 연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며 후속 연구의 방향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놀이신념’에 대해 처음으로 연구가 이루어진 1998년을 시작으로 2023년 12월까지 발표된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관련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107편을 수집하였다. 수집된 논문은 연구 시기, 연구 대상, 연구 방법, 연구 도구, 연구 주제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는 방법을 활용하여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시기별 분석결과 영유아 교사의 놀이신념 관련 연구가 1998년 이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오다가 2019 개정 누리과정이 현장에 적용된 시점인 2020년 이후 급격히 증가하였다. 둘째, 대상별 분석결과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그 중에서도 영아교사 보다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더 높은 비중으로 수행되었다. 셋째, 방법별 분석결과 대부분 양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특히 놀이신념과 관련된 여러 변인의 상관관계를 살펴보는 연구가 가장 많이 수행되어 다소 편중된 경향을 나타내었다. 넷째, 도구별 분석결과 Fogle(2003)의 PPBS를 번안하고 수정한 유형이 전체 연구 중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다섯째, 주제별 분석결과 ‘놀이신념 관련 변인모색’과 관련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놀이신념 관련 이론적 고찰과 프로그램 개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영유아의 놀이를 지원하는 교사의 놀이신념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제한점을 살펴보며, 유아교육 현장에서 놀이중심 교육을 지원하는 교사의 실천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여 향후 놀이신념과 관련한 후속 연구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nalyzes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play beliefs of infants and toddler teachers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tudy of play beliefs, and suggests the direction and implications of subsequent studies.
Methods 107 collected papers were systematically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calculating frequency and percentage according to the research period,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research tool, and research topic.
Results First, research related to play beliefs of infants and toddler teachers has been conducted continuously since 1998, and has increased sharply since 2020, when the 2019 revised Nuri course was applied to the field. Second, the mos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incumbent teachers, and among them, research on early childhood teachers has been conducted with a higher proportion than infant teachers. Third, most of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quantitative research methods, and in particular, the most research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various variables related to play beliefs was conducted, showing a somewhat biased tendency. Fourth, the type that was adapted and modified from the PPBS of Fogle (2003) was the most used among all studies. Fifth, the most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seeking variables related to play beliefs’.
Conclus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dentifies the research trend of teachers' play beliefs that support infants' play, examines the limitations, and provides basic data on teachers' practices supporting play-oriented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sites to suggest the direction for future follow-up research related to play belief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