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ubjectivity of Parental Child Communication perceived by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focusing on Q-methodology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서진석(Jin-Seok Seo) 김유천(Yu-Cheon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2호, 627~647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Q 방법론을 활용하여 학교 부적응 청소년이 인식하는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 경험에 대한 주관적 인식 유형과 특성을 알아보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및 면담을 통해 Q 모집단을 구성하고 33개의 Q 표본을 확정하였다. 그리고 목적 표집을 위해 학교 부적응 행위로 위탁 교육기관에 교육 중인 중·고등학생 30명을 대상으로 P 표본을 선정하고, Q 표본의 분류과정과 PC-QUANL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주성분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결과는 4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는데, 제1유형은 균형있는 의사소통 관계인 ‘관계조화형(일치형)’, 제2유형은 자신과 상황만 중시하는 ‘자기중심형(비난형)’, 제3유형은 타인과 상황만 중시하는 ‘상대중심형(회유형)’, 제4유형은 상황만 중시하는 ‘상황중심형(초이성형)’이다.
결론 본 연구는 Q 방법론을 통해 부모-자녀 간 의사소통이라는 주제로 자녀의 관점에서 주관적 인식유형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추후 연구 대상(부모의 관점 등)과 연구 영역(학교, 친구 등)이 확대되고 관련 연구 결과들이 통합되어 유형별로 세분화한다면, 청소년의 학교 부적응과 역기능적 의사소통의 실질적 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본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perception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experiences perceived by school maladjusted adolescents using the Q methodology.
Methods For this purpose, a Q population was formed through prior research and interviews, and 33 Q samples were confirmed. And for purposive sampling, a P sample was selected from 3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were being educated at an entrusted educational institution due to school maladaptive behavior, and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classification process of the Q sample and the PC-QUANL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by applying Satir's communication model, the characteristics of each type were classified into four types : Type 1 is ‘congruent type’, Type 2 is ‘blaming type’, Type 3 is ‘placating type’, and Type 4 is ‘super-reasonable type’. The characteristics could be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maladjusted youth.
Conclusions This study examin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subjective perception from the perspective of children on the subject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through the Q methodology. If research subjects(parent's perspective, etc.) and research area(school, friends, etc.) are expanded in the future, and related research results are integrated and subdivided by type, it is expected to serve as basic data for solving practical problems of adolescents' school maladjustment and dysfunctional communication.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