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contents and materials of Middle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content selection criteria’ and ‘material selection criteria’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고경재(Kyeong-Jae Koh)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2호, 571~5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어떤 내용과 자료로 중세국어 교육을 해야 하는지 고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내용 선정 기준’을 마련하고, 이를 바탕으로 중세국어 교육 내용을 선정하고자 하였으며, ‘자료 선정 기준’을 고려하여 중세국어 교육 자료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선정한 자료를 통해 선정한 내용을 교육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결과 내용 선정 기준에 따라 중세국어 교육 내용을 ‘표기, 음운, 문법, 어휘’의 각 측면에서 선정하였으며, 자료 선정 기준에 따라 중세국어 교육 자료로서 『훈민정음』 언해본의 <어제 서문>과 『삼강행실도』 언해본의 「진씨양고」, 「왕천익수」를 선정하였다. 선정한 자료를 통해 선정한 내용을 교수·학습할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결론 중세국어 교육은 ‘자료’와 함께 ‘내용’의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는바, 이들을 함께 유기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어떤 내용과 자료로 중세국어 교육을 하는 것이 좋은지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contents and materials should be used to teach Middle Korean language.
Methods ‘Content selec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and the contents of Middle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selected based on this. In consideration of the contents selected in this way and the ‘material selection criteria’, I selected Middl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and attempted to confirm that the selected contents could be taught through the selected materials.
Results According to the content selection criteria, the contents of Middle Korean language education were selected in each aspect of ‘orthography, phonology, grammar, and vocabulary’, and according to the material selection criteria, the Korean version of 『Hunminjeongeum』() and 『Samganghaengsildo』(「Jinsiyanggo」 and 「Wangcheon Iksu」) were selected as Middle Korean language education materials. It was confirmed that the selected contents could be taught and learned through the selected materials.
Conclusions Middle Korean language education involves the teaching and learning of ‘contents’ along with ‘materials’, and by considering these together organically, we can approach from a more realistic perspective what kind of contents and materials are best for teaching Middle Korean language.
목차
Ⅰ. 머리말
Ⅱ. 어떤 내용으로 교수·학습할 것 인가?
Ⅲ. 어떤 자료로 교수·학습할 것인가?
Ⅳ.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