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fter-School Instructors Perception of Effective Instrumental Teaching Methods and Suggestions for the Advancement of After-School Music Education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보경(Bo Kyung Kim)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2호, 503~523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는 방과 후 지도강사들이 인식하는 효과적인 악기 교수전략과 방과 후 음악교육 발전을 위한 제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5인의 방과 후 지도강사를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고, 이들의 체험에 담긴 의미와 의미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Colaizzi (1978)의 현상학적 질적 연구의 자료 분석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의 모든 단계에서 개방적인 태도로 현상학의 주요개념인 환원 및 판단중지, 상호주관성, 지향성, 본질직관 등을 통하여 탐구하고 기술하였다.
결과 방과 후 지도강사들은 효과적인 교수전략으로 흥미로운 악곡선정, 간단명료한 교수, 반복학습, 개별지도, 그리고 학생의 의사존중을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방과 후 음악교육의 발전을 위해서 통합예술교육 확대, 교내대회 도입, 협연 기회제공, 정기적인 공연관람, 마지막으로 다양한 프로그램 개설을 제안하였다.
결론 방과 후 음악교육에 관한 시사점과 향후 연구에 관한 제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plore effective musical instrument teaching strategies perceived by after-school instructors and propose sugg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fter-school music education.
Methods Five after-school instructors were interviewed, and the essence of their perceptions, commonly found in their experiences, was extracted using Colaizzi's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method. At all stages of the research, the main concepts of phenomenology, such as reduction and suspension of judgment, intersubjectivity, intentionality, and essential intuition, were explored and described with an open attitude.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after-school instructors recognize engaging song selection, clear and concise instruction, repetitive learning, individualized teaching, and respecting students' opinions as effective teaching strategies. Additionally, they suggest expanding integrated arts education, introducing intra-school competitions, providing collaborative performance opportunities, regular concert attendance, and finally, offering diverse program options for the advancement of after-school music education.
Conclusions In conclusion, implications for after-school music education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ovided.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