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Teacher-Child Interaction Types of Kindergarten Teachers and Predictive Factors: Applying Latent Profile Analysis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박미경(Mi Kyung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2호, 187~203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유형을 분석하고, 교사의 개인적 요인과 프로파일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교사-유아 상호작용 향상 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방법 자료수집을 위한 설문조사는 수도권 지역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 409명을 대상으로 2024년 1월 10일-1월 31일까지 수행되었다. 유치원 교사와 유아 상호작용을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으로 구분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 분석(latent profile analysis: LPA)을 실시하였다.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도출된 교사-유아 상호작용 프로파일 유형을 확인하고, 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유치원 교사의 교사-유아 상호작용 잠재프로파일 유형은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의 상호결합 정도에 따라 4개 유형으로 도출되었다.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매우 낮은 ‘소극적 상호작용형’은 전체 유치원 교사의 5.62%, 전체적인 상호작용 수준은 낮은 경향을 보이지만 정서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언어적 상호작용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언어적 상호작용형’이 43.03%, 평균 수준의 상호작용을 보이고 있으면서 정서적 상호작용이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보다 다소 높은 ‘정서적 상호작용 중심형’이 26.41%, 정서적, 언어적, 행동적 상호작용 수준이 모두 높은 ‘적극적 상호작용형’이 24.94%로 분류되었다. 교사의 개인적 요인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잠재프로파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연령, 학력, 경력이 교사-유아 상호작용 잠재프로파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교사-유아 상호작용과 관련하여 유치원 교사를 단일집단으로 인식하기보다는 집단내 교사-유아 상호작용 수준에 따른 다양한 집단이 존재할 수 있다는 점에 주목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 개선을 위해 각 집단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접근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plore latent profiles of kindergarten teachers with teacher-children interaction (T-CI) and to analys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personal factors and T-CI profiles.
Methods The survey for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10 to January 31, 2024, targeting 409 teachers working at kindergartens in the metropolitan area. We composed T-CI of kindergarten teacher into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and analyzed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ir T-CI level. The types of T-CI profiles derived from the latent profile analysis were identified, and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effect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factors on the T-CI profile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we classified four T-CI profiles: the ‘passive interaction type’, which had very low levels of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related to T-CI, was 5.62% of all kindergarten teachers, the ‘non-verbal interaction type’, which had relatively low emotional, verbal, and behavioral interaction levels, was 43.03% of all, the ‘affective interaction-centered type’, which had average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6.41% of all, the ‘proactive interaction type’, which had relatively high level of each competence, was 24.94% of all.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eacher's personal factors on the T-CI profile,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s age, education, and experience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T-CI profile.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are various groups according to the level of T-CI within the kindergarten teacher group, rather than considering the kindergarten teacher as the ‘cohort group’ in relation to T-CI. We also suggest that customized approach considering the profile characteristics related to T-CI is required.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