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Research on children's aesthetic experiences in outdoor play and teachers' play support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김혜경(Haekyoung Kim) 정은주(Eunjoo Jung) 박지원(Jiwon Park)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3호, 519~53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에서는 바깥놀이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심미적 경험을 분석하고 이를 증진시키기 위한 교사의 놀이지원 방안을 탐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4명의 유아교사와 각 학급 유아 54명을 대상으로 총 6주에 걸쳐 30회의 관찰을 통해 유아주도적으로 이루어지는 바깥놀이를 분석하였다. 현장기록과 녹화내용, 놀이일지, 저널, 면담 내용, 사진 등의 수집된 자료들은 사례연구 분석 단계를 거쳐 심미적 경험의 주제와 개념으로 도출되었다. 또한 놀이 흐름속에 나타난 교사의 심미적 경험증진을 위한 지원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바깥놀이에서 나타난 유아의 심미적 경험의 변화는 지적 측면에서의 심미적 경험, 정서적 측면에서의 심미적 경험, 실천적 측면에서 나타났다. 둘째, 바깥놀이에서 유아의 심미적 경험 증진을 위해 나타난 교사의 놀이 지원은 교실매체를 바깥놀이에서 활용하도록 하는 매체지원, 공간과 소품을 새롭게 활용하는 환경지원, 창의적 놀이를 만들기 위해 사고의 촉진을 돕는 사고지원, 배려와 공존의 마음을 느끼도록 돕는 심리지원으로 나타났다.
결론 유아주도적인 바깥놀이에서 유아들의 심미적 경험은 다각적 측면에서 나타났고 교사들의 심미적 지원에 따라 유아들의 놀이는 확장되고 심화되었다. 이는 유아의 심미적 경험 증진을 위한 교사의 면밀한 관찰과 적절한 지원이 능동적 변화를 이끌 수 있음을 시사하며 본 연구가 일상적인 유아중심 놀이에서 심미성 발달을 위한 적절한 사례가 될 수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ildren's aesthetic experiences in outdoor play, explore teachers' play support measures to promote them, and explore changes in children's aesthetic experiences.
Methods Child-directed play in outdoor were observed through 30 observations over a total of 6 weeks targeting 4 early childhood teachers and 54 children in each class. The collected data, including field records, recordings, play logs, journals, interviews, and photos, went through a qualitative research analysis stage to derive themes and concepts of aesthetic experience. In addition, the teachers' support for enhancing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appeared in the play flow was analyzed.
Results First, changes in children's aesthetic experiences during outdoor play occurred in terms of aesthetic experience from an intellectual aspect, an aesthetic experience from an emotional aspect, and a practical aspect. Second, teachers' play support shown to enhance children's aesthetic experience in outdoor play includes media support to use classroom media in outdoor play, environmental support to use space and props in new ways, and help to promote thinking to create creative play. It was found to be accident support and psychological support that helps people feel a sense of consideration and coexistence.
Conclusions In child-led outdoor play, children's aesthetic experiences appeared in various aspects, and children's play was expanded and deepened according to the teachers' aesthetic support. This suggests that a teacher's close observation and appropriate support to enhance children's aesthetic experience can lead to active change, and this study can be an appropriate example for the development of aesthetics in everyday child-centered play.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