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udy on Ecomuseum as a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Space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강경리(Kyunglee Kang)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3호, 503~517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의 가능성에 대해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평생교육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의미와 구조에 대한 분석을 통해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의 가능성을 도출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문헌 연구로 지속가능성, 평생교육, 교육 공간, 에코뮤지엄의 주제를 중심으로 국내·외 문헌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평생교육의 교육 요소와 교육 체계를 분석 틀로 활용하여 수집한 국내·외 문헌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평생교육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의미는 지역 기반의 확장 공간, 지역 환경의 연계 및 통합 공간, 지역 주민의 학습 공간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구조는 수평적 차원에서 다양한 유형의 문화유산 학습 공간, 수직적 차원에서 다양한 세대의 공동체 학습 공간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의 가능성은 앎을 위한 자기주도 학습 공간, 행하기 위한 성찰 학습 공간, 더불어 살기 위한 공동체 학습 공간으로 나타났다.
결론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은 학습자의 잠재력 향상을 위한 통합적 학습 공간, 학습자의 지속적 성장을 위한 체계적 학습 공간, 학습자의 공동체 학습을 위한 지역 공동체 기반의 학습 공간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the potential of the ecomuseum as a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space. In this study, the potential of the ecomuseum as a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space was derived through analysis of the meaning and structure of the ecomuseum from a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Methods This study was a literature study and collect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focusing on the topics of sustainability, lifelong education, educational space, and ecomuseum. This study analyzed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collected using educational elements and educational system of lifelong education as an analysis framework.
Results First, from a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the meaning of the ecomuseum appeared as a region-based expansion space, a connection and integration space of the local environment, and a learning space centered on local residents. Second, from a lifelong education perspective, the structure of the ecomuseum appeared as a cultural heritage learning space of various types in the horizontal dimension and as a learning space of various generations in the vertical dimension. Third, the potential of the ecomuseum as a lifelong education space were as a self-directed learning space for knowledge, a reflective learning space for action, and a community learning space for living together.
Conclusions As a sustainable lifelong education space, the ecomuseum needs to build an integrated learning space to improve learners’ potential, a systematic learning space for learners’ continuous growth, and a local community-based learning space for learners’ community learning.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평생교육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의미
Ⅴ. 평생교육 관점에서 에코뮤지엄의 구조
Ⅵ. 지속가능한 평생교육 공간으로서 에코뮤지엄의 가능성
Ⅶ.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