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nvironmental Systematic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adolescent suicide risk
- 발행기관
-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 저자명
- 유지혜(JiHye Ryu)
- 간행물 정보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제24권 13호, 123~138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15

국문 초록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 자살위험 영향 요인을 탐색하여 중·고교 학생을 비교함으로써 세분화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법 충남 일개군 소재 청소년 527명을 대상으로 안전 인식조사의 결과를 바탕으로, 측정된 관련 변인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개인 체계, 환경 체계, 사회 체계 요인에 대한 자살위험을 t 검증과 분산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모형1, 모형2, 모형3에서 나타나는 위험 변인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개인, 환경, 사회 체계를 모두 투입하여 나타난 청소년 자살위험의 유발 변인은 우울, 학교 부적응, 성폭력 경험과 폭력 피해 경험 순으로 나타났다. 중학생은 우울과 성폭력 경험, 폭력 피해 경험과 학교 부적응 순이고, 교사와의 부정적 관계 자살위험의 부(-)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고등학생은 우울, 폭력 피해 경험, 학교 부적응, 성폭력 경험, 부정적 교우관계 순이고, 학교 폭력 가해 경험은 자살 위험의 부(-)적 요인으로 나타났다.
결론 청소년 자살위험 유발 변인은 개인적 일탈보다 환경과 사회적 관계의 영향이 크다. 우울과 성폭력 피해는 중고생 모두에게 주요 위험 변수로 작용하였으나 특히 중학교에서 높은 위험 요인으로 나타나고 있다. 고등학생은 학교 폭력 피해와 학교 부적응과 함께 에서 높았고, 부정적 교우관계에서 높게 나타나 학교에서의 관계 갈등이 자살위험의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성폭력 요인은 중고등학생에서 모두 높은 위험 변인으로 나타나고 있으므로 청소년의 성인지 감수성 교육이 필요함을 제언한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adolescent suicide risk and to compare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s a basis for developing targeted programs.
Metho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afety perception survey of 527 adolescents in Ilgae-gun, Chungcheongnam-do, relevant variables were measured and used in the analysis. The suicide risk for individual system, environmental system, and social system factors were analyzed using t-test and analysis of varianc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the risk factors in Model 1, Model 2, and Model 3.
Results The risk factors for suicide among adolescents that included individual, environmental, and social system factors were depression, school maladjustment, experience of sexual violence, and experience of being victimized by viol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depression, sexual violence, victimization, and school maladjustment were the most important risk factors for suicide, followed by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For high school students, depression, victimization of violence, school maladjustment, victimization of sexual violence, and negative peer relationships, in that order, and perpetration of school violence were negative predictors of suicide risk.
Conclusions The environment and social relationships are more influential than individual deviance as risk factors for suicide in youth. Depression and sexual victimization were major risk factors for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but were particularly strong in middle school. In high school, relationship conflicts at school were identified as a major risk factor for suicide, with victimization of school violence and school maladjustment being high, along with negative peer relationships. As sexual violence factors were high risk factors in both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t is suggested that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for adolescents is necessary.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