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Typ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nd College Life Adaption of Multicultural Youth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이형하(Hyoung-Ha Lee) 김훈희(Hun-Hee Kim) 김정오(Jeong-O Kim) 권충훈(Choong-Hoon Kwon)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2호, 95~12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청소년패널조사(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이하MAPS)」 1기 패널(2011년∼2020년) 중 9차연도(2019년)와 10차연도(2020년) 데이터를 활용하여다문화청소년의 교육성취 유형을 분류하고 예측 변인의 영향력을 분석한 후 교육성취 유형이 대학생활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기 위함이다. 분석결과, 첫째, 다문화청소년의 교육성취 유형은 ‘교육성취 부진집단’, ‘교육성취 보통집단’, ‘교육성취 우수집단’, ‘교육성취 최우수집단’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교육성취 최우수집단 > 우수집단 > 보통집단 > 부진집단 순으로 다문화청소년의 부모님 지지가 높고,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성취 부진집단을 준거집단으로 비교해 다문화청소년의 희망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부모님 지지가 높고,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좋을수록, 아버지의 학력이 높을수록 보통집단, 우수집단, 최우수집단에 속할 확률이 더 높았다. 넷째, 부모님의 지지가 높을수록, 교우관계와 교사관계가 좋을수록, 다문화청소년의 대학생활 적응이 높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ssify the typ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multicultural youth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predictive variables using data from the 9th and 10th years (2019) of the first panel (2011-2020)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Study, and to investigate how the typ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affect college lifeadapta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first, the types of educational achievement ofmulticultural youth were classified into ‘underachievement group’, ‘education achievementgeneral group’, ‘excellent education achievement group’, and ‘education achievement bestgroup’. Second, multicultural youth have high support for their parents in the order of thebest educational achievement group > excellent group > average group > poor group, andhave good compan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Third, compared with the underachievinggroup as the reference group, the higher the desired level of education of multicultural youth,the higher the support of their parents, the better the relationship between friends andteachers, and the higher the father's educational background, the higher the probability ofbelonging to the ordinary group, the superior group, and the best group. Fourth, the higher thesupport of parents, the better the companionship and teacher relationship, the higher theadaptation of multicultural youth to college life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