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ypes of Creative Character and Moral Education: Around Intuitive Creativity
- 발행기관
- K교육연구학회
- 저자명
- 정철영(Cheol-Yeong Jeong)
- 간행물 정보
- 『사회과학리뷰』제9권 제2호, 79~9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인간의 능력 가운데 신으로부터 부여 받은 독창적 사고는 과학기술의 발전과 시대의 변화를주도적으로 이끌어 인류의 명성을 드러냈다. 우리들의 새로운 것을 생각하는 능력과 무한한 상상을가능하게 하는 능력인 창의성(creativity)은 문명, 예술, 문화, 과학기술 교육 등의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긍정성의 방향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4차 산업혁명 시대이자 AI시대에서 살아가는 우리들에게는 긍정성의 방향성과 함께 Chat-GPT(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의 특이점에 상응할 수 있는 인지발달의 능력이 요구된다. 우리들에게는 인간의 창의성과 인성, 그리고 방향성과 시대성을 고려한 창의인성 교육이 고려되어야 한다. 왜냐하면, AI기술의 진화에 있어서 딥러닝(deep learning)을 지나 인간의 창의성과 인성의 영역에 있어서 일정부분의 산술적 성향의 능력을 뛰어넘고 있는 4세대 챗-GPT의 특이점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덕심리학적 관점에 입각하여 우리의 창의성을 확산적 창의성과 수렴적 창의성으로 구분하고, 도덕적선호발달의 감정형과 사고형의 특성에 기초하여 창의인성의 네 가지 유형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mong human abilities, the original thinking given by God led the development of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change of the times, revealing the reputation of mankind. Creativity, our ability to think about new things and the ability to enable infinite imagination,should be developed in the direction of positivity that can be continuously used in fields suchas civilization, art, culture, and science and technology education. For us living in the era of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I era, the direction of positivity and the ability of cognitive development to correspond to the singularity of Chat-GPT (generative pre-trainedtransformer) are required. We should consider human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thatconsiders direction and timeliness. This is because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peculiarityof the 4th generation Chat-GPT, which passes deep learning in the evolution of AI technologyand goes beyond some arithmetic ability in the area of human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our creativity into diffuse creativity and convergent creativitybased on a moral psychological perspective, and presented four types of creative personality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otional and thinking types of moral preference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창의인성 유형
Ⅲ. 창의인성 유형과 도덕교육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