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omestic Research Trends on Depression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Focusing on the academic journals registered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염연숙(Yon-Suk Yom) 최인화(In-Hwa Choi)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제28권 제2호, 7~34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우울 관련 국내 연구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2009년부터 2022년까지 국내 등재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 102편을 대상으로 연도, 연구유형 및 자료분석방법, 연구대상 및 연구 주제에 따라 분석했다. 분석 결과는 첫째, 유아 자녀를 둔 어머니 우울 관련 논문은 2009년에서 2022년 사이에 매해 3편 이상 꾸준히 발표되었고, 2015년부터 2018년 사이에 발표된 논문으로 54편(53%) 다른 시기에 비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둘째, 연구유형 및 자료분석방법에서는 양적 연구가 91편(89.2%)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주요 자료분석방법은 구조방정식모형과 회귀분석 방법으로 나타났고, 질적연구는 7편(6.9%), 그리고 혼합연구는 4편(3.9%)으로 양적연구에 비해 비중이 작게 나타났다.
셋째, 연구 대상별로는 일반가정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한 논문이 88편(86.3%)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은 장애아 자녀를 둔 어머니 대상 논문이 7편(6.9%), 그리고 다문화가정 대상과 저소득층 가정 대상은 각각 3편(2.9%) 순서로 나타났다. 넷째, 연구 주제별 연구 동향에서 어머니 우울과 관련하여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은 자녀 변인으로 자녀의 발달 특성과 어머니 우울 간의 관계를 살펴본 연구가 가장 많았다. 다음은 어머니의 심리사회적 특성과 같은 개인 변인과 부부 변인 그리고 가족 변인이 연구되었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어머니 우울과 관련한 추후 연구의 방향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102 papers published in domestic journals from 2009 to 2022 according to the year, research type and data analysis method, research subject, and research subject to understand domestic research trends related to depression of mothers with infant children.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first, more than three papers related to mother depression with infant children were published steadily every year between 2009 and 2022, and 54 papers (53%) were published between 2015 and 2018, and more studies were conducted than in other periods. Second, in terms of research type and data analysis method, quantitative research accounted for the highest proportion with 91 articles (89.2%), and major data analysis methods were structural equation models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s, 7 qualitative studies (6.9%), and 4 mixed studies (3.9%), showing a smaller proportion than quantitative studies. Third, by research subject, 88 papers (86.3%) targeting mothers from general families were the most common. Next, there were 7 papers targeting mothers with children with disabilities (6.9%), and 3 papers (2.9%) for multicultural families and low-income families, respectively. Fourth, in the research trend of each research topic, the most research on mother depression was conducted on the child variable, and the most research looked 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ild'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mother's depression, followed by individual variables such as mother's psychosocial characteristics, couple variables, and family variables. Based on these results, the direction of further research related to mother depression was suggested.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