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Verification of the semantic function of the evidence pattern of ‘呢’ through the analysis of the interaction phenomenon between ‘呢’ and ‘Chinese Mood’ in modern Chinese
- 발행기관
- 글로벌지식융합학회
- 저자명
- 진준화(Joonhwa Jin)
- 간행물 정보
- 『지식융합연구』제7권 제1호, 279~295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복합학 > 학제간연구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본고는 진준화(2018b, 2019)의 논의에 의거해 진준화(2023a)가 제시한 현대중국어 ‘呢’가 진정으로 ‘증거 양태 의미기능’을 수행하는지에 대해 확인 및 검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진준화(2023a)의 논의는 상당한 타당성을 지닌 논의이며, 진술문과 의문문 문말에 사용된 현대중국어 ‘呢’는 중국어 서법으로 보았을 때, 역시 ‘증거 양태 의미기능’ 수행하며, 증거 양태 조사로 그 어법 지위를 부여해도 충분한 이견이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진준화(2018b, 2019)에서 주장한 바와 같이, 중국어 서법과 양태를 표현하는 ‘呢’와 같은 성분들이 표층구조와 심층구조에서 충분한 상호작용을 통해 문장 의미를 결정한다는 것도 확인 및 검증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현대중국어 문말 조사 ‘呢’는 화자가 증거성에 입각해 현실 세계에 존재하는 ‘실체/상황/사건’에 대해 청자에게 ‘사실 확인 혹은 단정’이라는 의미 속성 및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 증거 양태 조사이다.”라는 현대중국어 ‘呢’의 진정한 어법 기능의 정의를 확립할 수 있었던 기회이기도 하였다.
영문 초록
Based on the discussion of Jin, JoonHwa (2018b, 2019), this paper attempted to confirm and verify whether the modern Chinese ‘呢’ presented by Jin, JoonHwa (2023a) truly performs the ‘evidence pattern semantic function’. As a result, Jin, JoonHwa (2023a)’s discussion is a very valid discussion, and the modern Chinese ‘呢’ used in statements and question sentences also performs a ‘evidence mode semantic function’ in Chinese calligraphy,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re was no sufficient disagreement even if the grammatical status was given by investigating evidence patterns of evidence. In addition, as claimed by Jin, JoonHwa (2018b, 2019), it was also confirmed and verified that components such as ‘呢’, which express Chinese calligraphy and patterns, determine sentence meaning through sufficient interaction in the surface and deep structure. Through this, it was also an opportunity to establish the definition of the true grammatical function of modern Chinese ‘呢’ that “the speaker used to perform the semantic attribute and function of ‘fact confirmation or conclusion’ to the listener for ‘real/situation/event’ existing in the real world based on evidence.”
목차
1. 들어가면서
2. 현대중국어 ‘서법(语态, mood)’관련 진준화(2018b, 2019) 논의 분석
3. ‘서법’과 ‘呢’의 상호작용 및 이를 통한 ‘呢’의 증거 양태 의미기능 구현 양상 검증
4. 나오면서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