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Analysis on Childhood Development of the 2015 Practical Arts Education Textbooks For Elementary Education
- 발행기관
- 한국실과교육학회
- 저자명
- 전중원(Joong-won Jeon)
- 간행물 정보
- 『한국실과교육학회지』제37권 제2호, 65~81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실과 교과서 속 아동기 발달에 관한 내용을 어떻게 다루고 있는지 파악하여, 향후 2022 교육과정 개정에 따라 초등 실과 교과서 집필 시 살펴보아야 할 점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연구 문제는 첫째, 2015 개정 초등 실과 교과‘아동기 발달’관련 교과서 내용의 외형체제와 구성의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2015 개정 초등 실과 교과서의 ‘아동기 발달’내용은 어떤 특징이 있는가? 이다.
연구 문제에 따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발달에 관한 내용은 초등학교 실과 5학년 1학기 1단원에 배치되어 있었으며, 3~4차시 분량의 수업 차시 분량으로 계획되어 있었다. 둘째, 6종 교과서는 관련 성취기준에 따라, 신체, 인지, 정서, 사회성 영역의 발달의 특징 및 발달의 개인차, 건강하게 발달하기 위한 조건을 제시하고 있었다. 그러나 일부 교과서에서는 발달의 개인차에 대해 내용이 없거나, 개인차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에 대한 내용이 누락되어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기 발달의 특징과 성장 발달에 필요한 조건 및 방법에 대한 보다 직접적인 설명이 실과 교과서에 제시되어야 한다. 둘째, 개인 외적으로 타인과 구별되는 발달 개인차를 인정할 수 있는 보다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활동이 실과 교과서에 구성되어야 한다. 셋째, 발달의 개인차를 불러일으키는 요인을 언급하여, 개인의 후천적 노력으로 발달의 모습이 달라질 수 있음을 설명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content related to childhood development in six types of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vised in 2015. The research question were: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system and composition of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related to ‘childhood development’? Second,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childhood development’ in the 2015 revised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he findings revealed that first, the contents on childhood development were organized within the first unit of the first semester of the 5th grade in the practical department of elementary school, planned for a duration equivalent to 3~4 sessions. Second, all practical arts textbooks outline development characteristics in body, cognition, emotion, and society, as well as individual differences in development and prerequisites for healthy development, based on related achievement standards. However, some textbooks omitted content on individual differences in development and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se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made: First, more direct explanations of childhood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the necessary conditions and methods for healthy growth and development should be provided. Second, more practical and specific activities that help students recognize individual differences in development beyond the individual should be presented. Third, it is crucial to discuss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individual differences in development and explain that development outcomes can be influenced by individual efforts and acquired skill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